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멀미를 예방하려면 여행을 떠나기 전에 우선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수면
부족
도 멀미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멀미약을 복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늘 부작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정보의 어긋남을 가급적 줄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신문 책 지도 등을 보지 말고 먼 곳의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부족
한 소프트웨어오-소프트웨어로 화제를 돌려보지요. 사실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부족
은 하드웨어 문제보다 훨씬 심각합니다. 현재 소프트웨어개발비는 하드웨어 예산의 3.4%에 불과합니다. 이런 여건에서 질좋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허-영국에서는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보다 확보하고 핵연료를 완벽하게 재순환시키는데 두고 있다.일본은 에너지가 늘
부족
한 나라인만큼 대체에너지의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태양 지열 풍력 조력에너지에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석탄의 액화와 가스화기술은, 석탄을 이용한 수소제조기술은 독일과 함께 세계 최고수준이다.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담당하고 있는 일본의 대학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한다. 그 원인은 자금
부족
이 아니라 경영의 부실 때문이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미국 대학들의 일본 분교에 의해 그 위치를 빼앗기고 말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조사팀은 그 원인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첫째로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89년 10월 건치회가 인포서브에 처음 가입했을 무렵에는 통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
해 보급에 어려움도 있었다. 지금은 어느정도 이를 극복한 상태지만 아쉬운 점이 많다고 시솝 조광제씨(조광제치과의원)는 말한다. "욕심같아서는 일반회원과 비회원들(건치회는 전체 치과의사의 10%가 가입해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적은 편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곳에는 플랑크톤이 서식하는데 필수적인 철분(Fe)이
부족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고철덩어리를 가루로 만들어 이 해역에 뿌리면 플랑크톤의 수가 급격히 늘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해양계의 탄소순환은 빙하기의 도래와도 관계가 있다. 빙하기와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발리섬에 1천㎾급의 발전소를 건설했다.국내 동해안의 경우에는 해안선 1㎞당 연간
부족
파력에너지는 약 44GWh다. 파력발전은 조력발전에 비해 규모가 작고 발전량도 기상 조건에 따라 크게 변하므로 생산전력도 조력발전처럼 기존의 전력망에 연결시키기 어려우므로 지역적 특수 전력수요에 맞추어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소식이다. 노트북의 홀로서기노트북을 데스크톱 컴퓨터와 비교하면 확장성이 약간
부족
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노트북이 가볍고 얇아지다 보니 데스크톱에서 사용하는 주변장치들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힘들고 대체로 노트북 전용의 주변장치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상자에 넣어 들고 들어가 날개를 퍼덕이며 고통스러워 하는 것을 보고 유독가스나 산소
부족
을 탐지했다.1950년대 일본의 미나마타 지방에서는 해안가의 새들이 날개가 마비돼 하늘을 날지 못하고 땅에 떨어지는 기이한 현상이 발생했는데, 그 당시에는 어느 누구도 사람에게 그러한 현상이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해운항만청은 현재 추진중인 부산항 컨테이너 확장공사가 끝나는 95년이면 항만
부족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인공섬 컨테이너항 건설계획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했다. 환경처는 지난해 9월 '매립후의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구체적 계획이 결여됐다'며 건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즉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