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많은 영역을 통합하는 기술이다.현재 국내 전반의 위성 개발기술 수준은 분야에 따라
차이
는 있으나, 소형위성을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은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 일부 정밀기계·전자분야 제조기술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소형위성의 개발은 대형위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 ...
미인 앞에선 셈 못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내일 2만원을 줄까, 아니면 일주일뒤 5만원을 줄까?”라고 묻는다고 생각해보자. 액수
차이
가 크기 때문에 이성적으로는 당연히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그런데 남성의 경우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을 본 후에는 이렇게 셈하는 능력이 망가진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런던왕립학회회보’ 최근호에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테크닉’ ‘부자와 가난뱅이
차이
는 시간관리’ ‘시간을 아낄 것인가 돈을 아낄 것인가’. 시간을 잘 사용해야 성공한다는 내용의 책제목들이다.현대인에게 시간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은 너무 당연하게 느껴져 시간 그 자체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그래서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자신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상의 시간도 달라져 보인다.그런
차이
는 동물과 인간 사이에만 있는 게 아니다. 같은 인간끼리도 시간을 의식하고 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은 각자 다양하다. 미래학자 토플러는 이런 말을 했다. 열다섯살짜리 아이가 마흔다섯살 먹은 아빠에게 ... ...
통증에 대한 뇌 반응 남녀 달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박사는 “성 역할이 지금보다 훨씬 더 나눠졌던 원시시대 남녀의 스트레스 반응
차이
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즉 남성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싸우느냐 아니면 도망치느냐의 결정을 내려야 했기 때문에 인식기능이 훨씬 발달한 반면, 여성은 아이들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지를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높이 몇개의 별들이 모인 형태로 떠오르는 이 별무리는 단순히 육안으로도 다른 별들과
차이
가 있어 보이는 특이한 대상이다. 여러분들도 오늘밤에 하늘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특별한 별무리를 찾아본다면 아마 누구나 플레아데스성단을 자연스럽게 고를 것이다. 실제로 이 성단은 북반구에서 볼 ... ...
휴대전화에도 쓰이는 차세대 암호연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양의 정보를 다룰 때 유용하다. 몇몇 사람만 이용하는 비밀열쇠 암호기술과의 가장 큰
차이
다. 전자서명, 전자상거래, 전자신원증명, 전자투표 등 보안이 중요한 일상행동을 인터넷상에서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 까닭은 바로 공개열쇠 암호기술 덕분이다.이처럼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암호는 수학,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게다가 문제는 데이터 양에서 끝나지 않는다.두번째 도전은 재료의 성질인 물성의
차이
이다. 모든 인쇄 공정에는 가열과 냉각이 포함된다. 유사하지 않은 재료들은 열팽창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냉각과정에서 금이 가거나 쪼개질 수 있다. 이 기술의 개발자들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2008년 출시 예정 _ www.star.t.u-tokyo.ac.jp빛을 내는 애완용 열대어국립대만대의 H. J.
차이
교수는 해파리의 발광유전자를 열대어인 제브라피시(zebra fish)에 주입함으로써 어둠 속에서 연두색의 빛을 내는 유전자변형(GM) 물고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대만 타이콩사는 이를 애완동물로 시장에 내놓았다.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러나온 글이라는 점에서 과학지식의 전달만을 위한 목적으로 쓰여진 것과는 결정적인
차이
가 난다.‘꿈꾸는 달팽이’‘생물의 죽살이’‘생물의 다살이’‘생물의 애옥살이’ 등 그가 쓴 책이 한결 같이 사랑을 받는 이유도 바로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자연스러움과 친근함 때문일 것이다. 권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