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저온의 열원에서 고온의 열원으로 에너지를 운반한다.그렇다면 냉동기와 열펌프의
차이
점은 무엇일까.냉동기는 열펌프의 냉방능력만 이용하는 것이다.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 주변은 온도가 떨어진다. 이 저온상태를 활용하는 것이 냉동기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경우 증발기를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야생 늑대가 언제부터 가축화돼 개로 진화됐는지에 대해서는 과학자에 따라 상당한 견해
차이
를 보인다. 고고학적 유물연구에 따르면 1만2천-1만4천년 전으로 추정되나 DNA 염기서열 연구에 따르면 1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고 한다.어느 지역 늑대가 가장 오래된 개의 선조인지에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게다가 문제는 데이터 양에서 끝나지 않는다.두번째 도전은 재료의 성질인 물성의
차이
이다. 모든 인쇄 공정에는 가열과 냉각이 포함된다. 유사하지 않은 재료들은 열팽창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냉각과정에서 금이 가거나 쪼개질 수 있다. 이 기술의 개발자들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때문에 불편을 겪는 백내장 환자를 위해 개발된 것으로, 가장자리를 압축해 굵기
차이
를 줄인 것이다. 이 렌즈로 만든 안경을 착용하면 눈이 작거나 커 보이는 현상이 적어 미용 효과가 좋다.이 외에도 원적외선렌즈는 눈에 해로운 원적외선을 90% 이상 차단하기 때문에 눈의 피로와 충혈을 방지한다.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높이 몇개의 별들이 모인 형태로 떠오르는 이 별무리는 단순히 육안으로도 다른 별들과
차이
가 있어 보이는 특이한 대상이다. 여러분들도 오늘밤에 하늘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특별한 별무리를 찾아본다면 아마 누구나 플레아데스성단을 자연스럽게 고를 것이다. 실제로 이 성단은 북반구에서 볼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고를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카메라 모듈이나 액정의 위치에 따른 외형적
차이
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디자인’. 최근 휴대폰 디자인의 설계 방향이다. 전화·TV·PDA·카메라 등 다양한 기능들을 한정된 크기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치할 것인가는 휴대폰 디자인에서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것.2008년 출시 예정 _ www.star.t.u-tokyo.ac.jp빛을 내는 애완용 열대어국립대만대의 H. J.
차이
교수는 해파리의 발광유전자를 열대어인 제브라피시(zebra fish)에 주입함으로써 어둠 속에서 연두색의 빛을 내는 유전자변형(GM) 물고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대만 타이콩사는 이를 애완동물로 시장에 내놓았다. ... ...
대장금의 손맛 비결은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의해 생긴다는 의미다.이런 까닭에 한 원장은 일회용 비닐장갑을 끼는 것이 손맛에서 큰
차이
를 가져올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 물론 비닐장갑이 음식을 할 때 방해가 되고 정성이 부족해지게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말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한 원장은 음식을 자르거나 채를 써는 칼질 역시 손맛이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러나온 글이라는 점에서 과학지식의 전달만을 위한 목적으로 쓰여진 것과는 결정적인
차이
가 난다.‘꿈꾸는 달팽이’‘생물의 죽살이’‘생물의 다살이’‘생물의 애옥살이’ 등 그가 쓴 책이 한결 같이 사랑을 받는 이유도 바로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자연스러움과 친근함 때문일 것이다. 권 ... ...
뇌 단백질 구조에 따라 기억력
차이
나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연구팀은 “수용체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중 하나가 다르기 때문에 단기 기억력에
차이
가 생긴다”고 추측했다. 티라민이 있는 수용체는 히스타민이 있는 수용체보다 세로토닌에 의해 자극을 덜 받아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지난 1월 미국립정신건강연구소의 다니엘 와인버거 박사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