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5,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쥬라기 월드 영화보고 공룡토크쇼까지! 동아사이언스-CGV 콜라보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그래디(배우 크리스 프랫)는 수신호와 언어로 벨로시랩터를 다룰 수 있다. 벨로시랩터
유전자
를 가진 인도랩터도 과연 그의 수신호를 따라 움직일까. 실제 벨로시랩터도 영화에서처럼 영리했을까. - UPI 코리아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등 '쥬라기' 시리즈 영화들은 중생대 공룡의 피를 빤 모기의 ... ...
뇌전증,자폐스펙트럼증후군 원인인 '대뇌 피질 미발달' 해결책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대뇌 피질 발달장애를 겪은 7~8세 어린이 환자의 뇌 조직을 연구한 결과 엠토르(mTOR)라는
유전자
에 후천적 돌연변이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돌연변이는 신경세포의 소기관인 ‘일차 섬모’의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차 섬모는 안테나처럼 세포 사이의 ... ...
크리스퍼 가위로 유전성 자폐증 누그러뜨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6
번번히 떨어지는 등 자폐증 치료법이 없는 상황이었다”며 “
유전자
편집 기술로 뇌 속
유전자
를 직접 교정하면 자폐증 외에 다양한 유전성 희귀 질환 치료에 쓰일 수 있을 것”고 강조했다 ... ...
과학적 신원확인으로 6.25 전사자 가족 품으로...
과학동아
l
2018.06.22
6·25 전사자 유족의 DNA와 비교하면 가족 여부를 알 수 있다. 문제는 세대가 거듭될수록
유전자
를 통한 신원 확인 가능성이 4분의 1씩 줄어든다는 것이다. 장유량 국방부 중앙감식소장은 “현재 기술은 1, 2촌 내 가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향후 DNA 분석 기술이 더 발전하리라 보고 ... ...
“치매 원인은 물집 만드는 흔한 바이러스” 미국 연구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6.22
복잡한 통계 및 뇌 네트워크 분석 작업을 실시해 바이러스가 알츠하이머를 일으키는
유전자
와 직접 관련을 맺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바이러스가 1차적 원인인지는 모르지만,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도록 뇌 네트워크를 방해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 동안 ... ...
붉은불개미 대응 어떻게?...덫으로 잡고 페로몬 분석해 번식력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21
박사는 “곤충이 상대를 유혹하거나 소통할 때 쓰는 냄새물질인 페로몬은 400개 이상
유전자
의 조합으로 생긴 단백질이다”며 “이 단백질의 유전적 구성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군체의 여왕개미 수와 번식력 등 발달 상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럼 교수는 “붉은불개미뿐아니라 ... ...
내 몸 부드럽고 정교하게 제어하는 ‘식스센스’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감지하고 조절하는 자기수용감각 수용체라는 사실을 규명해 보행 장애를 일으키는
유전자
를 발굴하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플로스 생물학’ 9일자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솎아지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런 유전형은 어떤 이점을 줄 수 있을까. 이런
유전자
들을 개별적으로 들여다보면 변이가 생겼을 때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쳐 인지능력이 높아지고 공간 지각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집중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의 집중력(주변 상황 무시 ... ...
참나무 장수 이유, 질병저항
유전자
덕분이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차단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향후 관련 참나무가 생애 동안 어떻게 단백질과
유전자
의 발현량을 조절해 위기에 대응하는지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수용체를 지닌 사람은 둔감하다. 결국 카페인 민감도는 대사 효소
유전자
형와 수용체
유전자
형 조합의 결과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수용체가 카페인과 강하게 결합하고 분해효소는 카페인을 제대로 대사하지 못하는 사람은 카페인에 극도로 민감할 것이다. 반면 수용체가 카페인을 제대로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