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5,100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 챙기는 건 인간뿐?...“사람과 가장 닮은 유인원도 부모자식 개념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07
바 없다. 보노보 역시 난잡한 성생활을 하기 때문에 사실 누가 자신의 아버지인지는
유전자
검사를 인간이 해주지 않는 이상 알기 어렵다. 다만 고릴라나 침팬지와 다른 점은 힘이 없다고 쫓겨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자신의 무리 속에 아버지가 살고 있기는 하다는 사실이다. 최근 각박해지는 ... ...
올드한 카네이션의 대반란...투톤, 파스텔톤, 화려한 겹꽃
동아사이언스
l
2018.05.07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
다. 연구진은 블루 진을 장미와 카네이션에 모두 이식했지만, 이
유전자
가 카네이션에만 작동해 푸른 빛(실제로는 보라색에 가깝다)을 띠는 ‘문더스트’가 개발됐다. ... ...
[과학사진관] 눈을 제대로 떠보면 온 세상이 화원이란 걸 알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위치해 있고 세포체들은 피질 깊은 곳에 위치해 있다. 본 작품의 이미지를 통해 Fmr1
유전자
결손 생쥐의 전두엽 피질 내부 회로의 시냅스 분포를 조사하고, 신경 질환들과 관련된 연결망 특성에 대해 유추할 수 있다. 작가의 TIP 엠그래스프(mGRASP)란? 뇌의 정원사는 대상과 가까운 시각으로 ... ...
봄은 고양이로다…고양이 연구들 ①
2018.05.03
T1R2와 T1R3가 결합한 수용체가 있어야 하는데 고양이는 T1R2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
의 일부가 손실됐기 때문입니다. 단백질을 주로 섭취하는 고양이에게 탄수화물의 단맛은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고양이가 달콤한 간식을 먹을 때 쫓아와서 킁킁 거린다면 단맛이 아니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만들어진 게놈이 엉망이 돼 바이러스 증식에 실패한다. 바이러스의 표면구조를 이루는
유전자
는 숙주에 침투하거나 면역계를 피하기 위해 돌연변이가 빠르게 일어났기 때문에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라도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면 숙주 세포 안에서 자신의 게놈을 주형으로 해서 복제를 ... ...
유명여배우 떨게한 ‘BRCA1’
유전자
막는 신약?... 유방암 임상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2배 이상 좋다는 것”이라며 “신약물질이 약으로 시판될 경우 항암치료 전에 브라카
유전자
의 돌연변이 여부를 검사한 다음 약물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임상실험을 담당한 찰스 스완튼 ICR 교수는 “신약 물질의 부작용도 거의 없는 걸로 확인됐다”며 “브라카 돌연변이를 ... ...
유전자
가위로 바이러스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7일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이 내용이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실린 것이다. 흔히 3세대
유전자
가위 기술로 널리 알려진 ‘크리스퍼-캐스9’은 문제가 생긴 목표 DNA 염기서열에 찾아가서 달라붙는 '가이드 RNA(크리스퍼)' 분자와 DNA를 자르는 가위효소 '카스9(Cas9)'가 짝을 이룬 복합체다. 연구팀이 ... ...
DNA서 염기 하나만 바꿔… 근위축증 앓는 생쥐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변이가 일어난 Dmd
유전자
에서 아데닌(A) 염기 하나만 구아닌(G)으로 바뀌었고,
유전자
가 정상으로 돌아오면서 근육 조직이 디스트로핀 단백질을 정상적으로 생성해낼 수 있게 됐다. 김 단장은 “염기교정 가위를 동물의 성체에 처음 적용해 유전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 ...
우울증 일으키는
유전자
있다...44개 연관
유전자
구역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7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첫 단추를 끼운 것”이라며 “이제 이런
유전자
구역이 개인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나 활동을 통해 어떻게 우울증을 일으키게 되는지 (보다 면밀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정확도 1만 배! 합성 물질로 성능 개선한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암이나 혈우병 등의 유전병을 치료하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유전자
교정 기술 '크리스퍼'의 정확도를 기존보다 약 1만 배 이상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김성근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캐나다 앨버트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크리스퍼가잘못된 DNA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