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07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핵세포가 할 수 없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세포 생물은
개체
를 이루기 위해 세포 수준을 넘는 조직과 기관의 분화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세포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 분화돼야 한다. 때문에 다세포 생물은 다양한 세포 소기관을 갖고 있는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
수학동아
l
201007
매미 수가 줄어들어 많은 매미가 종족을 번식하지 못하는 일이 생긴다. 따라서 교잡하면
개체
수가 줄기 때문에 매미는 교잡 횟수를 줄여야 한다. 어떻게 교잡 횟수를 줄일 수 있었을까? 14부터 18까지 서로 다른 두 수를 둘씩 짝지어 최소공배수를 구해 보면 그 방법을 알아 낼 수 있다. 표를 보면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07
호르몬은 심박수, 혈압, 호흡량을 증가시켜 몸을 민첩하게 만든다. 한편 스트레스를 받은
개체
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CRH)’을 분비한다. CRH는 15초 만에 시상하부 아래에 있는 뇌하수체로 이동해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분비를 촉진한다. ACTH는 혈관을 타고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07
하거나 페로몬을 분비해 서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인간 사회처럼 각자 역할이 있어
개체
수가 수만 마리에 달하더라도 질서정연하죠.” 이 박사는 꿀벌 무리가 모인 곳마다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무슨 상황인지 설명하기 시작했다. 다 똑같아 보이는 방에 똑같은 벌 무리처럼 보이지만 방에 저장된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산양은 일본 산양과 속이 다르다는 결과도 얻어냈다. 이 교수는 “
개체
검사는 어느 지역에 산양이 몇 마리가 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이고 집단 간 DNA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친교배 정도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구팀은 대구지방환경청의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06
월경주기를 단축시키는 작용을 하고 다른 하나는 연장시키는 작용을 해야 한다. 두
개체
가 이 두 페로몬의 작용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월경 동기화가 일어난다는 것.맥클린톡과 대학원생 캐슬린 스턴은 이 모델을 입증하기 위해 흥미로운 실험을 고안했다. * 난포기의 여성 겨드랑이에 면 패드를 넣어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05
꺼내니 큼직한 깍두기만 하게 자른 스펀지 가운데 씨앗이 하나씩 들어 있다. 발아한
개체
는 공장 한쪽에 있는 육묘 선반으로 옮겨 약 3주간 키운 뒤 재배 선반으로 옮겨 역시 3주 정도 키운 뒤 수확한다. 육묘 선반은 백색광 LED가 촘촘히 놓여 있어 재배 선반보다 빛이 더 강하다. 어린 식물은 좀 더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05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도 “버거 박사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
변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특성이 성인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전문가들은 “세디바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의 중간 단계가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환경에 심각한 위협으로 떠올랐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홍도는 최근 들어
개체
수가 조절되고 있지만 흑산도는 섬 깊이 숨어버리는 말썽쟁이 고양이들로 아직도 골머리를 썩고 있는 실정이다.건물 유리창에 부딪쳐 목숨을 잃는 새도 해마다 늘고 있다. 일명 ‘윈도스트라이크(Window Strike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04
대사량, 생식주기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몸집이 클수록 빠르고, 오래 살며,
개체
수는 작다. 뇌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생식주기는 길어진다.대부분의 생명체는 몸집이 커지는 것과 함께 그에 맞게 생리 메커니즘이나 모습을 함께 바꿔 왔다. 한 예로 크기와 대사율의 관계를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