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08
분자표지는 그 작물이 갖고 있는 유전자의 일부분이다. 오 회장은 “특정 형질을 갖춘
개체
를 좀 더 쉽고 빠르게 선발하려는 게 분자표지를 이용하는 핵심 목적”이라며 “분자표지는 분자육종의 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분자육종이 결국은 GM 작물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08
생겼다”고 설명했다. 잔가시고기가 천적의 눈을 피해 안전한 장소로 다니려고 다른
개체
의 행동을 따라하도록 진화했다는 뜻이다.그는 “앞으로 잔가시고기 외에도 사회적 습득 능력을 가진 동물이 더 있는지 추가로연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행동 생태학’ 4월호에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08
걷고 있는 셈이다. “분자생물학이든 육종학이든 이제는 두 분야를 다 잘 이해해야 해요.
개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눈에 보이는 현상도 확인해야 하고,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현상도 들여다봐야죠. 육종도 이제 분자까지 다루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니까요.” 유전육종체험학교에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08
개체
가 짝짓기를 할수록 유전자가 더 많이 뒤섞여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개체
수가 적었던 네안데르탈인이 갑작스런 환경 변화 같은 사건에 매우 취약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생존을 위해 자연에서 같은 식량자원을 공유해야 하는 현생 인류의 등장도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에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08
빨리 익고 육질이 좋은 일본 품종 2가지를 교배한 다음, 우리 풍토에 잘 적응한
개체
를 선발한 결과다. 이 같은 육종 덕분에 추석에도 크고 단 배를 맛볼 수 있게 됐다.국내에서 재배하는 배는 대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는 “동양배는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08
지역의 자연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갖고 있는 특성과 새로운 품종의 특성이 섞여 있는
개체
를 선별해 재배하면 된다. 현재 약 1억 2500만ha(헥타르, 1ha=1만m2)에서 재배되고 있는 GM(유전자변형) 품종도 이 같은 과정을 거쳤다.10년 이상 산고 끝에 새 품종 얻어새로운 품종이 태어나는 과정은 어머니의 ... ...
유전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08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DNA의 양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DNA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과
개체
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뤄진다.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원래 발리섬은 숲이 넓지 않아 먹이도 부족하고 따라서 호랑이 몸집이 작았을 뿐 아니라
개체
수도 많지 않았다. 그런데 사람들이 숲을 개간하고 사냥을 하면서 바로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발리 호랑이도 사냥에 희생됐다. 섬 왜소증은 포유동물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거대한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07
적합한 변이를 가진 생물이 살아남아 자신의 형질을 자손에게 물려준다는 적자생존과
개체
의 이기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기를 희생하면서 남에게 이익을 주는 생물의 이타성은 어떻게 설명이 가능할까? … (중략) … 대부분의 생물들의 이타적인 행동들이 자연선택설로 설명이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07
중 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황금색인 황쏘가리는 한강수계에서만 살고 있으며 현재는
개체
수가 많이 줄어 잘 볼 수 없다.얼마 전 횡성의 한 낚시터에서 길이 130cm가 넘는 메기가 잡혀 화제가 됐다. 메기는 야행성으로 은밀하게 이동해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먹성이 너무 강해 그물(정치망)에 잡힌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