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비가 얼마나 왔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많이 온 경우 손가락이 깊게 들어가고, 적게 온 경우엔 손가락이 얼마 들어가지 않는다. 이 방법은 누구나 손쉽게 따라할 수 있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사람에 따라, 지역에 따라, 땅의 습성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졌다. 이런 부정확한 방법으로는 각 지역에 ... ...
- [논문탐독]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지평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실험(in silico experiment)’이라고 합니다. 실체를 재현하기 힘들거나 아주 추상적인 연구의 경우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필수입니다. 너무 느린 알고리즘은 무의미하다 컴퓨터가 입력된 논리 연산을 수행할 때 요구하는 자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바로 시간과 공간이죠. 소수를 판별하는 유명한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개선하고 싶은 의지는 있지 만동물의생태를잘모르거나어떻게바꿔야하는 지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정법에 따르면 사육 사나 수의사들은 해마다 법으로 정한 필수교육을 받아야합니다.그외시설관리자같은동물원에 서 일하는 사람들도 기본교육을 꼭 받아야 해요. 한국동물원수족관협회(KAZA ... ...
- [출동, 슈퍼M] 삼각김밥은 왜 삼각형 모양일까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주먹밥은 어느 방향으로 먹어도 입에 닿는 부분이 가장 적고, 사각형이나 원형 주먹밥의 경우 입에 닿는 부분이 넓어서 입 주위에 음식물이 묻게 되지요. 셋, 양이 많이 보이는 착시 효과!삼각형 모양 주먹밥은 다른 모양에 비해 양이 많아 보인다는 장점도 있어요. 만약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의 ... ...
- 팩트체크4. 일본이 방출한다는 삼중수소 양, 문제없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제거하기가 어렵다. 산소와 결합한 형태(HTO)로 물과 완전히 섞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알프스와 같은 최신 정화 장치로도 걸러낼 수 없다. 도쿄전력의 발표에 따르면 오염수에 들어있는 삼중수소의 총량은 약 780TBq(테라베크렐)이다. 일본은 이것들을 바닷물로 희석해 약 30년에 걸쳐 나눠서 방출할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보일 정도로 큰 금속 주삿바늘을 정확히 꽂아 넣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백신의 경우, 각종 면역세포가 표피와 진피층에 주로 존재해서 피내주사 방식이 더욱 중요하다. 백신을 일반 주사기로 투여하려면 장인 수준의 손기술이 필요한 셈이다. 일반 주사기는 바늘이 길어서 혈관을 찌를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이 학생들에게 상당히 부담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우엔 학습지 등의 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이 주요 개념들을 스스로 파악하도록 돕고 있어요. 또한 과학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선 역시 예습보단 복습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오늘 배운 건 오늘 다시 ... ...
- [이그노벨상] 롤러코스터와 아이스크림으로 질병을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처방받지 못한 환자 중 절반 이상인 59.1%에서 구강점막염이 발생했다. 아이스크림을 먹은 경우 구강점막염 발생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그동안 소문으로만 전해져오던 아이스크림의 효능이 입증되는 순간이었다. 야신스키 연구원팀은 논문에서 아이스크림 처방의 장점으로 “간단하고 ... ...
- [필즈상 수상 후 1년] 변화 없는 일상으로 수학 연구에 집중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될 수는 있겠지만, 목표 설정 자체가 그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어려운 목표라면 분명히 언젠가 가까이 가기 어려운 지점이 생길 텐데 그런 지점을 맞닥뜨렸을 때 마음이 힘들고 잡념이 생기잖아요. 목표를 가지지 않는 게 앞으로 나아갈 때 산만해지지 않는 ... ...
- [일타 수맨스] 일타 강사가 말하는 ★수학 공부해야 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질문을 잘 해야 합니다. 무조건 질문을 많이 하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문제 어떻게 풀어요?’는 잘못된 질문이에요. 수학의 본질과 달리 고민조차 해보지 않고 ‘방법만 내놓아라’라는 격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풀어봤는데, 더 이상 필요한 조건 하나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