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알아차리지요. 2018년에는 로봇 전신에 뿌리는 액체인공피부를 개발하기도 했어요. 김 교수는 “촉감은 로봇이 어딘가 부딪혀 부서지지 않기 위해서도 필요한 감각”이라며, “로봇이 수많은 자극 중 위험한 것만 알아내는 기술도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하지만 여전히 같은 직장, 같은 부서에서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동료가 절실하다. 김 수석연구원이 입사한 지 20년이 다 됐지만 여성 연구원의 비율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는 “최근 육아휴직이나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으로 그간 막혀있던 새로운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어서 그래도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여러 번 반복해 실험의 결과를 예측하는 ‘몬테카를로 알고리듬’으로 답을 찾았어. 김 교수는 윷판의 갈림길을 없애 간략하게 만들고, 한 팀에 말을 두 개씩 사용하도록 했어. 그리고 난 뒤 무작위로 10억 번 윷놀이를 반복해, 말을 업는 것과 상대 말을 잡는 상황 중 어느 쪽이 승률이 높을지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 “뇌를 모르는 만큼 뇌 연구 자원이 필요해요.” 김종재 교수님은 인간의 뇌 자원을 제공하는 한국뇌은행을 이끄는 분이에요. 조금은 생소한 뇌은행에 대한 이야기, 직접 만나 들어봤답니다. Q 의사로서 뇌은행을 어떻게 보세요? 저는 유아기, 소아기 환자에게 나타나는 ... ...
- [썰렁홈즈] 초콜릿 공장장, 윌리리아 웡카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추락 전날까지 한반도에 떨어질 확률이 1%에 머무르다 결국엔 남태평양에 떨어 졌지요. 김 연구원은 “추락 예상 시간 72시간 전부터 비상상황실을 만들어 추락 예상 지점 등을 수시로 국민에게 알린다”고 말했어요. 2017년에는 자연우주물체의 추락과 충돌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주요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떤 취약점이 있는지, 이 때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이 담겨야 한다. 김 교수는 “제품의 모든 취약점을 해결하지는 못해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며 “제품이나 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보안 기술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두 점이 점점 가까워져 결국 동시에 움직이는 동기화 현상을 나타냈습니다. 연구를 이끈 김 교수는 “복잡한 시스템을 미분방정식으로 단순하게 표현하지 않았다면 세포의 의사소통 방법을 규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0월 1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통과했고, 2라운드에서 약 20개 팀이 선정됐어.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 연구팀이 제안한 암호를 포함해 국내에서 5개 팀이 1라운드를 통과했지만, 아쉽게 2라운드에서 모두 떨어졌어.김 교수는 2~3년 뒤에 약 3개 팀의 암호가 최종적으로 선정될 거라고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거예요.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고요? 수학동아 독자들을 위한 특급 조언을 부탁하자 김 교수님은 이렇게 말했어요. “빅데이터 활용에서 중요한 건 코딩이나 프로그래밍이 아니에요. 더 중요한 건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 거예요. 우리 주변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내가 불편한 게 무엇인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