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d라이브러리
"
분화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수정한 지 3~4일 된 쥐의 배반포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단계는 세포가 다른 여러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만능줄기세포 단계다. 가장 안쪽 빨간색 세포가 태아가 될 부분으로, 몸의 모든 조직과 기관이 만들어진다.[딱정벌레 앞다리의 빨판 스파이크 워커괴츠(케임브리지 거돈 연구소)]Spike Walker/Wellcome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논란은 객관적인 관측 자료를 보강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화산성 지진을 감지하고 수준계와 GPS를 통한 지표의 기울기와 팽창 정보, 화산성 가스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속도도 빠르지 않다. 그러나 미
분화
암은 전체 갑상샘암의 1~2% 정도로 드물게 발견되지만
분화
암에 비해 분열 속도가 빠르고 림프절로 전이가 일어나 위험하다. 대부분의 갑상샘암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 건강검진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고 있다. 지름이 1cm 이하면 서둘러 수술할 ... ...
스타더스트 탐사선의 두 번째 혜성 추격작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7년 전, 와일드2호 혜성과 만나 분석임무를 수행했던 NASA의 스타더스트 우주선이 마지막 임무를 기다리고 있다. 스타더스트 탐사선은 2월 15일 템펠1호 혜성의 옆을 지날 예정이다. 이 우주 탐사선은 2005년 NASA의 ‘딥 임팩트’ 미션이 남긴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화
구와 혜성의 얼음체를 조사한다.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물질이 뇌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면역세포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뇌에서 활동하도록
분화
한 면역세포가 바로 미세교세포(갈색)다.] 이성중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팀은 미세교세포가 뉴런을 부추기기 때문에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과학원회보(PNAS)’ 작년 8월 1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물질이라면 더 좋다. 틀에 넣은 세포를 바이오리액터에 넣고 키우면 근육줄기세포가
분화
해 근육이 된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고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 중인 블라디미르 미로노프 교수.][앞으로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갖추게 될 것이다.] [세포를 배양해 고기를 만들면 좁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 가지는 일반 줄기 세포의 군락형성능력, 자가재생성, 지방이나 뼈 조직으로
분화
되는 능력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 줄기세포를 일정한 모양의 틀에 붙여 배양하면 원하는 치아나 턱뼈 모양을 만들 수 있다.이 연구는 손상된 치아로 인한 환자의 고통과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정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뒷받침할 증거들을 제시했다. 갈릴레이는 배율 30배의 망원경을 만들어 수많은 별과 달의
분화
구를 관찰했다. 나아가 목성 주위를 원을 그리며 돌고 있는 4개의 작은 위성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 태양이 중심에 있다면 반달보다 큰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바람도 세차게 분다. 이런 바람의 방향대로 나뭇가지에서리가 얼어붙어 있다. 아소산의
분화
구는 둘레가 128㎞나 되는 거대한산이 둘러싸고 있다. 바깥 측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안쪽 측면은 가파르다 아소산 자락을 따라 펼쳐진 높은 지대에는 소와 말을 방목하고 있다. 우리나라 소를 한우라고 ... ...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걸까.노르웨이 스발바르 군도에 있는 스피츠베르겐 섬의 툰드라 지역에는 지름이 2m인
분화
구 모양의 야트막한 지형이 넓게 펼쳐져 있다. 마치 사람이 만든 것 같지만, 빙하가 얼고 녹으며 흙은 흙끼리, 돌은 돌끼리 각각 모이며 만들어진 자연 지형이다.인간의 집단, 즉 사회도 이 지형과 비슷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