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d라이브러리
"
분화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발표했다.마이크로RNA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RNA의 작은 조각이다. 세포의
분화
, 성장과 같은 생명 현상을 조절한다. 김 교수팀이 초파리의 몸에서 ‘miR-8’이라는 마이크로RNA를 없애자 초파리의 성장이 늦어지고 몸의 크기도 작아졌다. 작게 자란 초파리에 이 마이크로RNA를 넣어 주자 ... ...
타이탄에서 얼음화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NASA에 따르면 타이탄에는
분화
구가 있는 높이 1000m 정도의 두 산이 있었으며, 두 개의
분화
구 역시 확인했다. 얼음화산은 지표가 갈라져 위성 내부에 있는 물질이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만큼 지구의 ‘화산’과 모든 면에서 비슷하지만 극저온의 얼음과 메탄이 쏟아져 나오는 점이 다르다. 타이탄의 ... ...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을 생산했다.연구팀은 “과거에 배아줄기세포를 적혈구로
분화
시킨 사례는 있었지만 헤모글로빈을 만들지 못하는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며 “크기 4cm 정도의 작은 피부 조각만 있으면 충분한 양의 혈액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전에는 수혈을 할 때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람의 몸에 쓸 장기를 꼭 다른 동물에서 얻을 필요는 없다. 기계식 인공장기, 줄기세포
분화
, 생체조직공학을 이용한 재생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종 장기 기술은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할 수 있고, 환자에게 맞춤형 장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부족 문제를 가장 빠르게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만나게 되면 굉장히 난폭해진대. 무슨 얘기냐고?❶
분화
구까지 올라온 마그마속 으로
분화
구 위에 있던 빙하가 들어간다. 빙하는 1100~1200℃의 뜨거운 마그마를 만나 물이 되었다가 기체인 수증기가 된다. 이 과정에서 마그마가 식어 검고 작은 화산재가 생긴다.❷ 마그마 속에 있던 수증기는 화산 속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비해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일까. 바다는 고립지역이 없기 때문에 생물종이 다양하게
분화
하는 환경이 되지 못한다고 주장하는 생물학자도 일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해양생물학자들은 이는 섣부른 판단이라는 입장이다. 이들은 깊이 1000m가 넘는 심해저나 심해열수부 같은 극한의 바다를 충분히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쓰였기 때문에 그리 놀라운 결과는 아니었다. 태아의 뇌에는 신경세포와 교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세포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구자들은 왠지 모를 ‘예감’에 똑같은 실험을 성체 생쥐의 뇌세포를 대상으로 해보기로 했다. “성체의 뇌에도 EGF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 논문을 본 기억이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뇌에서는 신경조직이 생성되거나 분열할 수 없다. 웡 작가는 다양한 신체 조직으로
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이식하면 가능하지 않겠냐는 주장도 했다. 하지만 죽은 사람은 더 이상 호흡을 하지 않으며 심장이 뛰지 않아 신선한 혈액이 뇌에 공급되지 않는데다, 세포분열을 할 수 없기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갈라파고스에 언제부터 핀치가 살게 됐는지는 모르지만 비교적 짧은 시간 사이에 종
분화
가 일어나 현재 14종으로 갈라진 것으로 보인다.오늘날 볼 수 있는 것처럼 부리의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인 핀치가 14종이나 나오려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려야하지 않을까. 그런데 겉으로 보기에는 무척 다양해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2~3m나 화산재로 뒤덮였다. 다행히 백두산 주변은 산지가 높아 인구밀도가 낮다. 폭발적인
분화
가 일어났을 때에도 발해 백성들이 고려로 집단 이주를 했던 시기였으므로 인명피해가 그다지 크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백두산과 멀리 떨어진 남한에는 이렇게 무시무시한 영향이 직접적으로 닥치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