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장호르몬 지베렐린 투여로 해충 쫓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시작한다. 이 파리들은 껍질이 두껍고도 잘 익은, 밝은 색의 목표물을 찾아 알을 낳는
습성
을 가지고 있다.미국 농무부에 근무하는 패트릭 그리니는 최근파리를 내쫓고 자몽이 파리의 습격을 피하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이 방법이란 상록 감귤류에 고등식물의 생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을 투여하는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그것이다. 그러나 이 셋은 다만 국경을 달리하는 나라에 있다는 것뿐 그 형태적 특징이나
습성
은 다른 것이 없고 실제로 3개국 접경지대에서는 서로가 교류하고 있다. 때문에 별개 아종으로 볼 이유가 없다는 학계의 견해가 정립된 상태다. 또한 구 학설로는 속명(屬名)도 여느 고양이와 똑같이 ... ...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녹아 천정에 배어나와 아래로 떨어지는 게 정상이다. 그러나 이 동굴의 천정은 방
습성
으로, 그같은 상식이 맞아 떨어지지 않았다. 무엇인가가 암석표면에 막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생각했다.조사 결과 암석표면에는 박테리아가 무수하게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신비로운 '물에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이 대나무 종류는 우후죽순(雨後竹筍)을 한결같이 쑥쑥 내미는
습성
으로 장구한 세월 동안 사람들의 집약적인 약탈 대상이 되어왔다. 싱싱한 죽순은 곧바로 식탁에 올려지게 되니 모죽(母竹)으로서의 성장은 커녕 종족 번식을 위해 꽃을 피울 방도조차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 ...
숲과 인간, 삶의 순환고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식물 사회의 구성원인 식물 종(Species)들이 제각기 생육·분포에 있어서 고유의 생태적
습성
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갈대가 삼림군락에서 관찰되지 않으며, 농로(農路)주변의 밟히는 답압지에는 흔히 질경이가 관찰되며, 산지 암각지에 소나무가 자연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은 그 좋은 예가 될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팔랑나비과의 애벌레는 먹이가 되는 식물의 잎을 적당히 이어 집을 만들고 그속에 사는
습성
이 있다.벼과식물을 이용하는 애벌레들은 가늘고 긴 잎을 둥글게 말아서 집을 만든다. 둥근 마과 식물의 잎사귀를 먹고사는 왕자팔랑나비의 애벌레는 알에서 부화되자마자 잎사귀를 부채꼴로 오려내기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극관이라 불리는 이 얼음덩어리는 여름에 줄어들어다가 겨울에는 커지는 묘한
습성
을 가지고 있다. 주성분은 물이 아니라 이산화탄소로 알려져 있지만(드라이아이스를 연상하면 된다) 이 가운데 어느 정도 수분이 들어있는 가도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다. 만약에 물 성분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조사해 보면 일부일처에서 배우자가 일정치 않은 혼교양태까지 그야말로 다양한 사회
습성
이 존재한다. 다수의 수컷이 암컷을 접할 수 있는 체계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정자를 많이 생산한다. 반면 암컷 여럿을 거느리는 고릴라는 고환이 작고 정자수가 적어 1회 사정에 6천5백만마리의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쓸쓸한 카페에 앉아서 담배를 속절없이 태우고 있는 사내에게는 선조들이 봉화를 피우던
습성
이 남아있기 때문이 아닐까. 가늘게 피어 오르는 담배연기는 연기의 주인공이 고독한 사내라는 신호로 해석된다.음성과 데이터가 전화선을 타고컴퓨터통신의 역사는 전신에서부터 시작된다. 전신은 ... ...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너무 일찍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농약, '알라'는 과육을 뚫고 들어가는
습성
이 있다. 그러므로 겉표피를 잘 씻는다 할지라도 발암물질이 그대로 잔류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사실이 논란이 돼 일본에서 미국산 자몽이 팔리지 않자 그 시장을 한국으로 돌렸던 것이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