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여우란 동물은 과연 얼마나 교활하고 간교한 것일까. 그것은 여우의 생태와
습성
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사냥개는 금방 여우를 발견해 뒤쫓다가도 십중팔구 끝내는 놓치고 만다. 사냥개가 발자국을 따라 추격해오면 여우란 녀석은 달아나던 방향을 바꾸기도 하고 내를 건너기도 한다. 또 갑자기 ... ...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4 (가)-④ (나)-③ 무당벌레는 기어가다 날아갈 때 더 멀리, 더 높은 곳에서 날으려는
습성
을 보여준다. (가)의 실험에서는 왔다갔다만을 반복해 결국 날지 못한다(시소이기 때문에). (나)의 실험에서는 D지점까지 기어 올라간 뒤 날아간다.무당벌레는 전세계에 3천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미네소타동물원에서 수입해왔다. ■표범/잔존 추측만 무성호랑이와 비슷한 생태와
습성
을 가졌으며 운명을 같이 하는 듯하다. 분포권은 우리나라에서 아무르지역과 동부 시베리아까지. 고산 산림속 바위산의 굴에 살며 해발 1천5백m 이상에도 서식한다. 해방전에는 경기도 광릉에서 출현했고 ... ...
방언으로 종족을 구분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범고래(killer whale)들은 물속에서 교신할 때 서로 다른 종류의 방언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캐나다 밴쿠버 공설 수족관 관장인 존 포드는 지난 10년 ... 바다표범 등의 일상적인 먹이는 물론 더러는 다른 돌고래나 고래까지도 잡아 먹는
습성
이 있어 킬러(killer)라는 이름을 얻었다 ... ...
과학기술 해외교류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잡아도 무리가 없을 듯싶다.이제는 정부내에서도 의전만을 중시하는 정통정치외교의
습성
을 버리고 시대에 맞게 실리를 추구하는 과학기술외교전문가 집단을 만들어야 할 때가 왔다.선진국의 경우 산업계 연구계 학계·인사들을 외교협상에 내세우고 있는 사례가 부쩍 늘어나고 있는 상황도 염두에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동물의 하나다. 다른 척추동물과 비슷한 뼈 근육 심장 소화관 간 허파를 갖고 있지만 생활
습성
의 차에 따라 이들 기관이 변화된 것이다.몸통은 척주에 다른 척추골이 추가돼 있기 때문에 매우 길다. 대부분의 뱀은 2백개 이상의 척추골을 갖고 있는데 4백개 이상인 종도 있다. 또한 척추골에는 각각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일생을 마친다. 예를들어 논에 자라고 있는 야생벼는 재배벼와 거의 같은 생활
습성
과 특성을 가지면서도 재배벼를 수확하기전에 성숙해 그 종자를 땅에 떨어 뜨린다.셋째 잡초는 환경조건이 좋은 경우 그 환경을 재빨리 자기 것으로 이용해 많은 생육량을 만들고 반대로 환경조건이 대단히 불량할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관찰기록을 증거로 사자가 호랑이 보다 더 힘이 세다고 반박했다.한편 사자와 호랑이의
습성
을 면밀히 분석한 한 동물학자는 흥미로운 판정을 내렸다. 그는 초원에서 싸우거나 단체로 싸울 때는 사자가 호랑이보다 우세했으나 밀림이나 개인전에선 호랑이가 이겼다고 밝히고 있다. 또 한낮에 벌어진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얼룩말 무리는 프셰발스키와는 달리 아직도 자연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이들 무리의
습성
은 아주 다양한 편이다. 아시아 당나귀는 암컷이 무리를 거느린다. 반면 수컷은 발정을 했을 때를 제외하곤 무리에서 떨어져 나와 혼자 생활한다.그레비얼룩말은 수컷이 저마다 세력권을 만들고 혼자 살며,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관람객들로 연일 만원을 이뤘다.홍학은 군서(群棲)하는 강한 집단성을 갖고 있다. 그
습성
을 잘 살려 이용한 것이 바로 플라밍고쇼지만 동물애호라는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그러면 과연 홍학이 음률을 식별하는 지능을 갖고 있을까? 또 음률에 맞춰 율동을 하는 능력이 있는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