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애"(으)로 총 2,22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RGB)을 구분해 앞에 놓인 장애물의 형체를 파악하는 것 외에 심도(Depth) 센서를 추가해 장애물을 3차원으로 인식하게 했다. 요시다 교수는 “로버는 360도 회전하는 ‘RGBD 카메라’를 탑재하고 달 표면을 돌아다니며 탐사할 것”이라며 “로켓에 로버를 실어 발사할 때 엄청난 열과 진동이 발생하는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실제 신경을 그대로 모사해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신경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인공 신경 보철 장치나 로봇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 학부장은 “이들 연구는 최근 재료공학부 성과의 일부일 뿐”이라며 “재료공학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국내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5kg로 초등학생과 몸집이 비슷하며, 스테레오 카메라와 시각센서 라이다로 눈을 만들어 장애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2018년 여름도 한 교수에게 잊을 수 없는 시기다. 제자들과 함께 축구하는 로봇 ‘앨리스(Alice)’를 만들어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로보컵 대회’에 한국 최초로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계속 돌고 있는 시침을 피해 이동하는 미션도 있어요. 드론은 출발하기 전, 모든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한 뒤 이를 통과하는 경로를 정해야 한답니다. Q 드론의 자율비행 수준은 어땠나요? 번외로 사람이 직접 드론을 조종해 같은 경로를 비행시킨 뒤 기록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자율비행과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지요. 앞으로 핵융합 발전을 사용하기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아요. 그래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가 핵융합 발전을 연구하기 위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를 프랑스에 짓고 있어요. 2025년 첫 플라스마 발생을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코와 입에서 쏜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해 먹이와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지. 그래서 나방들은 약 6500만 년 전부터 박쥐의 수색에 대비해왔어. 박쥐의 초음파를 미리 알아채고 수많은 방어 전략을 발전시켰지. 그중 하나는 최대한 박쥐의 초음파를 흡수하는 거야. ... ...
- [실전!반려동물] 댕댕이를 살리는 응급처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얼마든지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으므로 안심해선 안돼요. 저체온증은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는 무서운 질병이거든요. 따라서 눈 또는 비가 내리거나 강풍이 불 땐 외출을 자제하고, 젖은 털은 최대한 빨리 말려 주는 것이 좋아요. 예방이 우선이지만, 만일의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용해 항로를 찾아요. 또 센서를 통해 파도의 높이와 조류, 풍속 등을 측정하고 주요 장애물을 파악하지요. 두 회사는 지금 모형이 아니라 실제 바다에서 운항할 자율운항선박을 짓고 있어요. 2019년엔 선원이 탄 채로 약 57km 정도 노르웨이 연안을 운항할 예정이고, 2020년부터 완전히 무인으로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해가 지면 자고 해가 뜨면 일어나는 지구 생활에 익숙해진 몸은 혼란을 겪고 수면 장애가 오기도 한다. 그래서 ISS에는 태양을 대신하는 특수한 조명이 있다. ‘솔리드 스테이트 라이트 어셈블리’라고 불리는 이 조명은 빛의 색과 강도를 조절해 ISS의 우주인들이 24시간 주기를 느낄 수 있도록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동작과 장애물을 피하는 동작에 끊김이 없지요. 뿐만 아니라, 한 발 점프로 40cm 높이의 장애물을 넘나드는 것 역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동작이었답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대표인 마크 레이버트 박사는 “영상으로 공개된 건 20번 이상의 시도 끝에 나온 것”이라며 “동작이 완벽하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