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무려 500가구가 쓸 전기에너지를 만들 수 있어요.풍력 발전기는 바람이 많기로 유명한
제주도
나 산간 지역에 세우면 최고죠. 바람은 고갈될 걱정이 없고 공해가 없답니다. 그리고 태양열 발전에 비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용이 7분의 1수준으로 저렴한 것도 눈에 띄는 장점입니다. 특히 바다에 풍력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송전망을 구축하는 1단계 건설사업에 이어 2단계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섬 지역인
제주도
는 육지와 해저케이블을 이용해 고압 직류(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로 계통을 연계하고 있다. 원거리에서 변전소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원방감시제어시스템(SCADA)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고품질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왜 독도에 난류성 생물이 살까. 한국해양연구원 박흥식 박사는 “쿠로시오난류의 지류가
제주도
를 지나 동해안으로 흘러 독도 주변을 지나기 때문”이라며 “알에서 깨어나 3~5주간 플랑크톤 시기를 거치는 유생은 난류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독도는 문어 같은 심해성 생물이나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제주도
를 포함한 남부지방 주민들은 일주일 동안 악몽을 꿨다. 제11호 태풍 ‘나리’가
제주도
에 이틀간 약 9억t, 전남 고흥에는 두 시간 동안 약 1억t의 물을 퍼부었기 때문이다. 태풍‘나리’가 휩쓴 자리엔 수해민의 눈물이 고였고 전국에서 13명이 목숨을 잃었다.한국해양연구원 기후 ·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들어 LCD 패널의 기초재료인 평면유리 틀을 제작하는 데도 이용된다. 왜냐하면 주경이
제주도
크기라고 가정할 경우 표면의 정밀도 오차는 종이 한 장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이다.또한 우리나라에서 보이지 않는 남반구의 하늘을 연구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실제로 우리 은하의 중심부분이 천구의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나비들이 원래 서식처를 떠나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증거다.또 2000년 이후 해외에서
제주도
나 남해안에 날아드는 미접들이 점점 늘고 있다. 돌담무늬나비, 대만왕나비, 뾰족부전나비, 검은테노랑나비 등 10여 종의 나비들이다. 미접 중에서 먹이식물이 주변에 있어 알을 낳거나 애벌레가 자라는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위부분까지 진폭이 커져 물이 욕조 밖으로 밀려나는 현상과 비슷한 원리다. 2005년 2월 9일
제주도
옹포리 옹포항이 침수된 현상은 부진동의 대표적인 사례다.하지만 피해가 가장 컸던 죽도는 부진동이 일어나는 지형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죽도를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해안선을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난류의 영향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7년 10월 우리나라 주변 바다(
제주도
남부)의 일차생산력(식물플랑크톤이 하루에 1㎡ 면적의 물기둥에서 만들어낸 포도당에 포함된 탄소 양)은 웜풀해역보다 약 4배 높았다. 그만큼 우리 바다의 생물자원이 풍부하단 뜻. ‘쿠로’는 ‘검다’란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치우쳐 있기에 위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 섬이나
제주도
에서 볼 수 있다.일본에서도 노인성은 장수를 상징하는 별로 사랑받고 있다. 니시하리마 천문대에서도 탐방객들에게 노인성을 찾아볼 것을 권했다. 하지만 시리우스 아래쪽으로 지평선 부근을 아무리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제주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식용버섯 중에 말똥버섯이라는 게 있다. 이 버섯은 이름처럼 섬에 많이 사는 말이 싸놓은 똥에서 자란다. 말똥버섯(큰갓버섯)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씨앗)는 바람에 실려 날아다니다 풀잎 위에 떨어지고 소나 말이 이 풀잎을 먹을 때 동물의 몸속으로 들어간다. 포자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