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양생물학자가 된 뒤 힘든 고비도 많았다. 임신 7개월 때도 억척스럽게 채집을 나갔고
제주도
현무암에서 미끄러지며 갈비뼈를 다치기도 했다. 서른아홉의 나이에 스쿠버다이빙을 배우는 일도 녹록지 않았다. 그래서일까. 고 교수는 어린 은주 양의 꿈이 해양과학자라는 사실이 기특하기만 하다. ... ...
돔구장은 홈런공장?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돌아온다. 3월 8일
제주도
오라구장에서는 지난해 챔피언인 SK 와이번스와 두산 베어스의 시범 경기를 시작으로 2008 프로야구의 막이 오른다.일본은 우리보다 2주 빠른 2월 23일 시범경기를 개막했다. 심술궂은 꽃샘추위를 막아줄 돔구장이 있기 때문이다.돔구장에는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단국대, 계명대, 대구대 등 9개 대학의 연합동아리다. 매년 한강과 낙동강, 금강, 강화도,
제주도
에서 조사 활동을 하고 그 결과를 연구리포트로 만든다. 직접 찍은 사진을 모아 각 대학에서 전시회를 열기도 한다. 동아리 연합회장인 박재현(계명대 디지털영상학과 03학번) 군은 “새에 대한 지식이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존재하지는 않는다.2006년 10월 국제산호초기구(ICRI)에 가입한 우리나라는 지난 1월 말
제주도
와 미크로네시아의 산호 분포를 연구한 첫 보고서를 제출했다. 국제산호초기구는 지구온난화와 해양오염의 위협에 직면한 전세계의 산호초를 보호하고 조사하는 단체다.그런데 눈 씻고 봐도 산호초를 찾을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품인 장미수(rose water)로 거품을 만들 때는 콩에서 추출한 레시틴 가루를 첨가한다.
제주도
에 여행 갔다가 가져온 것 같은 구멍이 숭숭 뚫린 시커먼 현무암에 스푼을 넣으면 푹 들어가며 덩어리가 떨어져 나간다. 현무암의 실체는 얼린 초콜릿 거품. 액체질소로 급속냉동공기의 80%를 이루는 분자인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틀자 제주추적소에서도 레이더를 이용해 발사체를 뒤쫓기 시작한다. 이어 200여 초 만에
제주도
근방 상공에서 위성을 감싸고 있던 덮개(페어링)가 둘로 나뉘어 떨어져 나가고 1단 액체엔진은 연소가 끝난 다음 분리된다.그 뒤 위성을 실은 2단이 일본 오키나와 나하섬에서 동북쪽으로 200km 떨어진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연구하고 있는 박흥식 박사의 말이다. 그는 독도 주변을 흐르는 따뜻한 해류 덕분에
제주도
에서나 발견되는 파랑돔, 자리돔, 청황베도라치가 서식한다는 사실을 수중탐사로 밝혔다. 알록달록한 아열대성 물고기가 뛰노는 이색적 바다 풍경은 독도의 ‘속살’을 들춰보기 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던 ... ...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제주엔시스’ 가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죽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주도
남쪽의 바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제주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마다 적조 때문에 골치를 썩는 어민들이 정말 좋아할 미생물이다. 미생물 속 보물지도, 유전체유전체는 한 세포가 지닌 모든 유전자 ...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열병에 걸린 지구요즘 내가 더 변덕스러워진 이유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야. 지난 14년간
제주도
남쪽 바닷물의 온도가 1℃나 올라갔어. 태평양과 한국 주변의 해수면온도가 높아지면 태풍에게 에너지를 팍팍 줄 수 있어서 태풍의 힘도 점점 커진단다. 지구가 온난화로 열병이 나면 나도 어질어질 ... ...
이산화탄소 먹는 ‘개도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밝혀졌어요. 부산대학교 정익교 교수의 연구랍니다. 개도박은 남해안과 경상북도,
제주도
주변 바다에 살아요. 정 교수가 개도박과 열대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비교해 본 결과 개도박이 5배나 더 많았대요. 다른 해조류도 육지에 있는 나무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잘 흡수한다고 해요. 개도박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