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막"(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순도가 너무나 높아 바로 핵의 게놈을 분석하는 연구에 착수했고 2010년 ‘네이처’ 마지막호에 그 결과를 발표할 수 있었다. 책의 본문은 이 지점에서 끝나고 3쪽 분량의 추신에서 그 뒤 연구결과를 살짝 소개했다. 1981년 지도교수 몰래 정육점에서 사온 소 간에서 시작한 연구가 2000년 멸종한 인류의 ...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KISTI l2014.03.14
-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설사 넓힐 수 있다 해도 고품질의 동물성 단백질을 구할 방법은 막막하거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곤충을 길러 먹자고 제안한 거란다.” “곤충이 그렇게 영양성분이 좋아요?” “단백질과 몸에 좋은 지방이 풍부하고 칼슘, 철, 아연 등 무기질 함량도 높은데다, 같은 ...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동아사이언스 l2014.03.13
- 230만 명이 새로 감염되고 160만 명이 사망한다. 따라서 여전히 증가추세다. 특히 사하라사막이남 아프리카는 에이즈로 초토화됐는데, 현재 전체 보균자와 사망자의 3분의 2가 이 지역 사람들이다. 최악의 지역은 남아공을 비롯한 아프리카 남부 8개 나라로 인구의 15%가 감염자라고 한다. 지난해 ... ...
-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2014.02.20
- 이야기하지 않고 파일로 작성해 별도의 암호를 걸어 전송하는 것을 추천한다. 도둑을 막는 완벽한 방법은 없다. 다만 여러 겹의 자물쇠를 채워 시간을 지체시킬수록 발각되거나 체포될 확률도 높아지므로 도둑의 침입을 줄일 수는 있다. 이렇게 보안이 강화될수록 주인의 생활도 불편해지기 ...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동아사이언스 l2014.01.20
- 지난 세기 인류를 공포로 떨게 했던 몇 차례 독감 팬데믹은 조류독감이 인간독감으로 막 변신한 결과로 일어났다. 실제 이들은 모두 228번 아미노산이 류신이다. 무려 5000만 명이 사망해 역사상 최악의 독감 팬데믹으로 기록된 1918년 스페인독감의 경우도 수십 년이 지난 뒤 한 연구팀이 알래스카 ...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KISTI l2014.01.16
- 성공하기도 했지.” “와~ 대박! 아빠 거짓말 진짜 잘한다. 이제 없는 사람 이름까지 막 만들어요.” “진짜야. 너도 알겠지만 쥐는 원래 겨울잠을 자지 않아요. 그런데 연구팀이 쥐에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을 투입하자 체온과 물질대사, 심장박동, 호흡 수치가 급격히 낮아지고 주요 대사물질이 ...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6
- 이뤄져있다. 상피세포층에는 멜라닌이 많아 기질을 통과한 빛을 흡수해 뒤쪽의 망막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한다. 주변 근육에 연결돼 있는 섬유조직인 기질의 경우 우리나라 사람들은 역시 멜라닌 과립이 분포해 있어서 대체로 갈색을 띤다. 반면 일부 백인들은 멜라닌이 없는 빈 과립만 ... ...
- [실험] 미니 정수기 만들기KISTI l2014.01.06
- 단점이 있다. 과학기술과 화학 공정의 발달로 물에서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할 수 있는 막(membrane)이 개발되고, 정수기가 등장하면서 부터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간편하게 물을 정수해 먹고 있다. 정수기는 말 그대로 물을 깨끗하게 거르는 기구다. 간단한 재료로 미니 정수기를 만들어 정수의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동아사이언스 l2013.12.26
- 사실상 전부인 필자는 가끔 자신이 좀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20여 년 전 평촌 신도시가 막 문을 열었을 때 평당 100만원하던 아파트 한 채만 사놨어도 지금쯤 재산이 두 배는 됐을 것이다. 지금까지 과학책에 쏟아 부은 시간의 1%만 경제서적에 할애했어도 재산이 네 배는 되지 않았을까. 올해 부고가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상태가 되는 성질이다. 1970년대 들어 로러는 물질의 표면구조로 관심을 옮겼는데, 막상 연구를 하려하자 마땅한 실험도구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스스로 장비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그는 뛰어난 젊은 독일 물리학자 게르트 비니히를 고용해 함께 연구에 착수했고 1981년 마침내 주사터널링현미경 ... ...
이전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