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스페셜
"
막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을 알면 스키 더 잘 탈 수 있다!
KISTI
l
2013.12.19
움직이는 것도 마찰열 때문에 생긴 물 덕분이라면서요.” “하긴, 그렇게 되는구나. 마지
막
으로 가장 중요한 스키 과학 딱 하나만 더 알고 가자. 스키는 상당히 위험한 운동이야. 경사면을 고속으로 쌩쌩 달려 내려오다 넘어지면 크게 다칠 수도 있거든. 물론 다치지 않게 ‘잘’ 넘어지는 강습을 ... ...
‘노후 준비 안 됐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9
일을 미리 계획해둘 때다. 50대는 장기적인 수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은퇴가 코앞인데
막
상 돈이 모이지 않았다면 자산 포트폴리오를 주식에 맞추고 퇴직연금이 얼마나 될지 미리 알아두자. 의료보험혜택이 적용되는지도 체크해야 한다.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행복 ... ...
국경을 넘는 드라마, 원작을 넘는 드라마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9
부부의 인의 없는 싸움>이 원작이다. 고현정을 앞세운 도 저조한 시청률로
막
을 내렸다. 세 작품 모두 일본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국내에선 실패했다. 성공한 드라마는 계속 국경을 넘을 것이다. 리메이크도 계속될 것이다.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요즘의 네티즌들은 다른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원리로 소포 전달이 이루어지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로트먼 교수 연구진은 소포의
막
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다른 요소와 결합할 때 자물쇠와 열쇠처럼 조합이 맞아야 반응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유전자의 내부를 검사함으로써 특정 조합을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규명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삼아 상보적인 가닥을 합성하는 효소인 DNA중합효소를 이용해 염기서열을 알아내는 기
막
힌 방법 두 가지를 고안했다. ‘더하기빼기(plus and minus)법’이라고 불리는 첫 번째 아이디어는 중합 과정에서 들어오는 네 가지 염기(삼인산의 형태) 가운데 방사능 표지를 한 것을(예를 들어 아데닌(A)의 경우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여전한가보다. 물론 로스버그가 단순히 기계만 만들어 돈을 번 사람은 아니다. 독일
막
스플랑크연구소의 저명한 인류학자 스반테 패보 박사와 함께 ‘네안데르탈게놈프로젝트’를 계획해 진행했고 2006년 ‘네이처’에 첫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참고로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초안이 ... ...
[채널A] 화요일 전국에 가을 비…반짝 추위 시작된다
채널A
l
2013.10.15
전국적으로 비가 내린 뒤 반짝 추위가 시작됩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이제
막
물들기 시작한 가로수 길을 따라 여유로운 산책을 즐깁니다. 맑게 갠 하늘 덕에 남산 위에서 바라본 서울이 오늘따라 더 선명합니다. [스탠드업] 낮에는 햇볕이 지표를 빠르게 데우면서 아침보다 기온이 10도 이상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양안의 통신도 얼마든지 가능해진 시점이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무선통신은 당시
막
태동하던 최첨단 분야로 많은 가능성을 안고 있었다. 아직 제대로 작동할지 확실치 않은 신기술이었지만 실용화에 성공한다면 전선에 의존하던 당시의 통신환경을 크게 진일보시킬 것이 분명했다. 현대적인 ... ...
[채널A] 낮에는 ‘불볕’ 밤에는 ‘쌀쌀’…일교차 큰 가을 길목
채널A
l
2013.08.27
있습니다. 이현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파란 하늘에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 이제
막
물들기 시작한 단풍은 초가을의 시작을 알립니다. 폭염 절정기가 지나 습도가 낮아지고 있어 서울의 가시거리는 20km까지 트였습니다. 하지만 한낮 더위의 기세는 쉽게 물러나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 ...
조종사의 손보다 위대했던 컴퓨터
KOITA
l
2013.07.30
절감하는 등 유압을 이용하던 방식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당시
막
개화하기 시작한 컴퓨터와 연결할 경우 실시간으로 변하는 정보에 따라 구동계를 가동하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다. FBW는 곧 비행의 개념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이전에는 이상적인 항공 역학적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