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심리"(으)로 총 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거절에도 상처받는 사람들2020.12.12
-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 ...
- 새해 살빼고 싶다면 안먹기보단 먹기에 도전하라동아사이언스 l2020.12.10
- 새해 결심을 성공적으로 지키는 비법을 공개했다. 퍼 칼브링 스웨덴 스톡홀름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무언가를 ‘회피’하는 목표가 아닌 무언가를 새로 시작하는 '접근 목표'를 세울 경우 이를 지킬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9일자에 발표했다. 회피 목표란 ... ...
- [코로나 시대 혐오]⑦ “정확한 정보가 관건...‘확진자’‘격리’ 용어도 혐오 유발할 수 있어”2020.12.06
- 준수하도록 강요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며 “마스크 착용과 관련된 갈등도 이같은 심리에서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인간 정서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 이해하고 이성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결국 정부나 언론이 감염병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 ...
- [코로나 시대 혐오]⑥'그들'에게 들었다. 혐오와 더불어 살기2020.12.05
- 상관관계 분석, 혐오를 부추기는 가짜뉴스 등 빅데이터, 진화인류학, 심리학, 데이터사이언스, 보건학 등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업을 진행했다.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불거진 정서적 불안감과 스트레스, 혐오 대상에 대한 인식, 위기 속에서 확산되는 가짜뉴스로 인한 글로벌 인포데믹까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지 않으려면2020.12.05
-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 ...
- [코로나 시대 혐오]⑤ 팬데믹만큼 무서운 인포데믹은 어떻게 편견·혐오를 조장했나2020.12.02
- 수준으로 여겨지는 가짜뉴스를 타 지역에서 믿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뭘까. 이는 심리학 이론인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과 ‘정보의 폭포 현상(information cascade)’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확증편향은 자신과 신념이 일치하는 생각이나 글만 선택적으로 찾고 재확산시키며 반대되는 정보는 ... ...
- [코로나 시대 혐오]④ 점점 예민해지는 사회, 우울과 스트레스 악순환 빠져든다2020.12.01
- 때문에 억제하기는 어렵다”며 “혐오 센서가 켜지는 것은 감염병 위협에 대한 진화심리적인 반응이지 이성적인 판단은 아니며 오히려 혐오 감정이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 코로나 ... ...
- [코로나 시대 혐오]③ 확산 원인 지목된 사람들, 국민들의 마음도 급격히 떠나갔다2020.11.30
- 매우 반대(4점), 반대(3점), 찬성(2점), 매우 찬성(1점)으로 물었다. 이 설문문항은 사회심리학과 인류학 분야에서 내집단과 외집단의 거리감을 측정하는 주요 도구 중의 하나로 학술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문항이다. 감정온도는 ‘외집단’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0도를 ‘매우 차갑거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뉴 노멀'에 적응하기 위해 2020.11.28
-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 ...
- [코로나 시대 혐오]①우리는 왜 위기 앞에서 증오하는가2020.11.24
- 박한선 서울대 인류학과 강사 겸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감염병에 대한 집단적인 심리 반응은 두려움과 불안에 이어 혐오 반응, 원인을 제공한 대상에 대한 분노와 책임 전가로 이어진다”며 “인간이 지난 혐오나 이타심 모두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새로운 감염병 시대에 맞는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