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원자시계의 전자기파는 무려 518조 번 이상 진동하지요. 그래서 세슘 원자시계보다 5만 배 정도 더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어요. 자의 눈금이 촘촘할수록 더 정밀하게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처럼, 진동이 많을수록 더 정밀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거예요.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도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로 바꿔 크기를 대폭 줄였습니다. 큰 사무실 한 칸을 다 차지할 정도로 덩치가 크지만, 당시 기준에서 보면 매우 작은 컴퓨터라 미니 컴퓨터 발전과 함께한 슈팅 게임의 역사컴퓨터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1961년, DEC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 PDP-1을 연구용으로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연료를 사용하거나, 기존 9~10km보다 낮은 6km 정도의 고도에서도 대형 비행기가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와일드 교수는 “지금은 전문가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마주한 개구리는 ‘아프리카발톱개구리’다. 태양이 작열하는 아프리카에서 살지만 20°C 정도의 차가운 물에서만 살 수 있다는 반전의 개구리는 권 교수의 트레이드 마크다. 세계 최초로 이 개구리의 유전체를 모두 해독해 2016년 네이처 10월 20일자 표지를 장식했기 때문이다. 7년 만의 성과로, 200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앞뒤 길이와 날개의 폭이 비슷한 반면, 인간동력 항공기는 앞뒤 길이보다 날개폭이 3배 정도 더 길지요. 양력을 더 많이 받기 위해서랍니다.양력은 공기가 날개를 떠받쳐 위로 뜨게 하는 힘으로, 날개가 클수록 더 커져요. 일반 비행기는 엔진이 있어 적은 양력을 받아도 되지만, 인간동력 항공기는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식수로 이용해요! 여과 장치를 걸러나온 오줌은 우리가 정수기에서 받아 마시는 물 정도로 깨끗하답니다.우주복을 벗지 못한다면 기저귀~!우주선이 이륙해 궤도에 진입하기까지, 또 착륙해서 지구 표면에 도착하기까지는 화장실을 사용할 수 없어요. 우주에서 둥둥 떠다니며 여러 미션을 수행하는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몸이 가벼워져 더 빨리 날 수 있거든요. 1962년에도 속도를 측정했는데, 이때는 시속 95km 정도였지요. 연구팀이 몸이 가장 가벼운 브라질큰귀 박쥐를 골라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얻어낸 낼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저는 멸종취약종이에요. 서식하는 지역이 적고,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때 민물고기를 채집하지 않고, 민물고기가 다치지 않게 해달라고 당부했어요.어때요? 이정도면 지구사랑탐사대 지원군이라 할 만하죠?내년에는 또 어떤 재밌는 탐사가 펼쳐질까요? 새롭게 펼쳐질 지구사랑탐사대 5기 활동이 벌써 기대되지 않나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 내년 봄에 다시 만나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습(濕)’과 ‘법도 도(度)’가 합쳐진 ‘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정도’라는 뜻을 갖고 있어요. 요즘처럼 너무 건조한 날씨에는 공기에 물기를 더하는 기계인 ‘가습기(加濕器)’를 틀어놓기도 해요.‘젖을 습(濕)’은 ‘물 수(水(=氵))’에서 뜻이 유래됐어요. ‘드러날 현(㬎 ... ...
- Part 1. 마이크로 로봇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 로봇은 손가락에 올라가는 크기에서부터 눈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은 로봇을 의미해요. 마이크로(Micro)라는 말이 ‘아주 작은’이란 뜻을 가지고 있거든요.마이크로 로봇은 처음에는 사람이 갈 수 없는 곳에 들어가거나 눈에 띄지 않게 정찰을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어요.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