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상처가 생겼지요. 물체의 크기와 피해의 규모를 통해 추정한 우주물체의 속도는 초속 11km 정도였답니다. 다행히 센티넬-1A는 지금도 정상적으로 운행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Part 3.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리 팀 잘한다! 우승은 우리 것!”결승전답게 응원의 목소리가 경기장 천장이 날아갈 정도로 쩌렁쩌렁 울려 퍼졌어요. 치열했던 로봇 퍼포먼스 결승전이 끝나고 접수 합계에 들어갔어요.창의로보올림피아드는 로봇 미션수행 점수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발표 점수도 최종 평가에 포함돼요. 교육을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궤도가 계속 바뀌거든요. 또한 하나의 망원경으로는 특정 위성을 하루에 4~5분씩, 2~3회 정도밖에 볼 수 없고요.이에 미국 ‘통합우주운영센터’는 전세계 30곳에 있는 망원경과 레이더의 정보를 모아 2만 개의 우주물체 궤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전세계에 제공하고 있어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 ...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 가운데 단백질을 만들어 몸의 구성과 유지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10만 개 정도예요. 하지만 각 유전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유전자 속에 담긴 정보를 하나하나 살피는 것은 만만치 않지요. 결국 한 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가 개발된 후에야 본격적인 게놈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즉, 우리는 주변에 함께 살고 있는 생물 중 1% 정도만 자세히 알고 있다는 거지요. 나머지 종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발견되고 있답니다. 1년 동안 평균 1만 8000~2만 종 가량이 이름을 받고 *신종으로 기록되지요. 우리나라에서도 신종과 **미기록종을 합해 1년에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다행히 어린이들을 위해 2G 정도로만 느낄 수 있도록 설정돼 있어서 정신을 잃을 정도로 어지럽지는 않았지요. 예린 친구는 “G-Force가 돌자 중력이 마치 내 왼쪽에 있는 것 같았다”며, “우주 비행사가 된 기분이 들어 매우 즐거웠다”고 말했어요.ICT체험관에서는 VR 체험 프로그램이 인기였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끈적끈적한 접착제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만든 접착제와 식물인 옥수수로 만든 접착제 중 어느 것의 접착력이 더 셀까? 500쪽 정도의 두꺼운 책을이용해 실험해 본 결과, 젤라틴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 센 것으로 나타났다.그 이유는 분자량에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커질수록 반데르발스 힘이 증가한다. 전분의 주성분인 다당류의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생겼지만, 겉을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껍질은 밤과 전혀 다른 모양이에요. 지름 5cm 정도의 단단한 공처럼 생겼지요. 그러나 칠엽수의 한 종류인 서양칠엽수의 열매는 둥그렇고 딱딱한 겉껍질에 날카로운 가시들이 달려 있어서 밤과 비슷해요. 열매도 역시 밤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우리나라에서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대륙은 유라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 등으로 나뉘며 지구 표면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지요.‘큰 대(大)’는 본래 사람을 뜻하는 글자였어요.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지요. 그러다가 ‘사람 인(人)’과 구별하기 위해 ‘훌륭한 사람, 큰 사람’이라는 ...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비밀번호는 총 1만 개를 만들 수 있어요. 우리나라 인구 수(2016년 6월 기준)만 약 5000만 명 정도니까, 나와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사람이 여럿일 수 있지요.반면 홍채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알려져 있어요. 이 수는 지금까지 지구상에 태어난 사람의 수보다 많다고 하니,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