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positive-feedback)’ 효과가 발생했을 것이다. 오늘날 남극의 혹독한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지리적 조건들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다.곤드와나로부터의 독립과 남극대륙이 고립되면서 나타나는 환경 변화는 남극 해역 주변 퇴적물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시대별로 퇴적물 코어를 분석해 해류와 해수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파충류는 지난 3억1000만 년 동안 온갖 다양한 모습으로 지구 곳곳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 긴 역사가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 서식지 ... 파충류들이 남아 있다. 3억1000만 년 된 이들의 이야기가 지금 끝나기에는 너무나도 아깝다.
여러
분의 관심이 필요하다. 아직 늦지 않았다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기상예보를 위해 NCAR의 수치예보모델을 사용해왔습니다.조용한 연구 도시의 반전NCAR는
여러
개의 캠퍼스로 나뉘어 있습니다. 그중 볼더의 명소로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메사 랩(Mesa Laboratory)’은 볼더 시의 남쪽 산등성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랩은 주위 산세를 본떠 깎아지른 암석절벽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어떤 연구를 주로 하시나요?장우진 저는 금융공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금융산업에서
여러
가지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분야입니다. 금융은 워낙 불확실성이 높아 정확한 데이터를 토대로 위험을 줄여주는 게 중요합니다. 수학을 이용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상품을 만들어내는 게 금융공학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길 확률이 높은 수만 놓는 방법도 사용했지요. 이렇게 5주간 학습한 결과, 알파고는
여러
바둑 프로그램들과의 대결에서 495전 494승이라는 놀라운 결과를 거뒀답니다.알파고는 모르는 수를 만나면 멘붕?판후이 2단,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알파고는 앞에서 배운 내용을 복합적으로 이용했어요.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박사님께서 개발한 가상현실 기술은 오차가 5㎜ 정도로 아주 정밀하다고 해요.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요.“먼 곳에 있는 사람과 젠가뿐 아니라 체스 같은 재미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또한 실제 그 장소에 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생생한 3D ... ...
[Editor’s note] 같이 해요!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공부하고 뭔가 이뤄내는 수업을 도입하는 건 바람직한 일인 것 같습니다. 기왕 그렇다면
여러
분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겠지요?Mamihlapinatapai를 주고받고 있지만 말고요~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만든 표정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이 확률 분포의 한가운데에는 실제로 사람이 지을법한
여러
가지 표정 좌표의 평균값이 있습니다. 그래서 모션 캡처로 만든 표정 데이터가 확률 분포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진짜 사람이나 동물처럼 자연스러운 표정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중앙에서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좀비 수를 줄여 나가는 것이 인류가 살아남을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더불어 좀비를 피해
여러
명이 함께 숨어 있으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 이유는 좀비에게 발각되는 순간 좀비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여름밤 무더위를 날려줄 뱀파이어와 좀비! 설령 이들이 실제로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표현하면 같은 공간 안에 훨씬 더 큰 수를 쓸 수 있다는 뜻이다. 큰 수 만들기 대회를
여러
반에서 실시했다면 모든 반의 큰 수를 모아 큰 종이에 정리해 붙인다. 그런 다음 복도에 결과를 게시한다.사실 아이들이 쓴 수 중에 가장 큰 수를 가려내는 일은 쉽지 않다. 계산기에 9999만 넣어 보아도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