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32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 변이 바이러스 日·伊 등 최소 13개국서 발견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0.12.27
안으로 들어가 복제가 된다”며 “이런 복제가 일어날 때 마다 바이러스마다 새로운 유전
물질
이 생긴다”고 말했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한다는 설명이다. 마리아 반 케르코베 WHO 코로나19 기술책임자도 “바이러스 확산이 길어질수록 변이할 수 있는 기회가 ... ...
[잠깐과학]
물질
비밀 푸는 거대 핵물리 장비들이 온다
2020.12.26
밝히려면 LHC보다 입자들을 더 빨리 가속시켜 더 세게 충돌시켜야 할지도 모른다. 암흑
물질
은 질량이 매우 큰 것도 있을 수 있는데, 입자들의 충돌에너지가 클수록 질량이 큰 입자를 만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CERN은 ‘차세대가속기(FCC)’ 건설을 계획 중이다. FCC는 둘레가 27㎞인 ... ...
[표지로 읽는 과학]1년, 10편의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26
알 수 있게 됐다. ○ 챈다 프레스콧-와인스타인…물리학에서 진정한 힘이란 암흑
물질
의 비밀을 찾는 우주학자인 동시에 과학과 사회에서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과학자. 뉴햄프셔대 물리학및천문학부 교수인 그는 미국의 이론 우주물리학 및 입자 이론에서 테뉴어(종신직)를 얻은 최초의 흑인 ... ...
[랩큐멘터리] 4세대 가속기,
물질
의 근본 원리를 찾는 탐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사람들이 유용한
물질
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게 목표다. 활기 넘치는 연구실에서는 매일
물질
의 근본적인 원리를 찾는 탐험이 이어지고 있다. 포스텍 'X선 회절 및 분광학 연구실' 보기 https://youtu.be/zIy1ckoTVFg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
물질
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증식할 때 그 유전정보가 단백질이 아닌 DNA를 통해 전달됨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즉, 유전
물질
의 정체가 DNA임을 확인한 것이다. 델브뤼크와 루리아, 허시는 196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그 이유는 바이러스의 복제기제와 유전자 구조를 규명한 공로였다. 허시-체이스 실험이 진행된 ... ...
[한 토막 과학상식]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적은 만큼 저잡음 레이저를 만드는 데 유리하다. 여기에 브릴루앙 산란이 잘 일어나는
물질
을 찾아 레이저에 적용하면 초소형 및 저전력 레이저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한석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이용희 KAIST 물리학과 교수, 최무한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 최덕용 호주국립대 교수 연구팀은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기존 두
물질
을 이루는 결합구조나 조성과는 다른 새
물질
이 생겨납니다. 두
물질
의 경계면은 새로운 소재가 생성되는 보고(寶庫)인 셈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미래소재연구단과 함께 앞으로 한국의 소재 산업을 이끌 미래 소재의 깜짝 놀랄 세계를 연재로 소개합니다 ... ...
변이 코로나 6개국서 발견…전문가들 "이미 전세계에 퍼졌을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안으로 들어가 복제가 된다”며 “이런 복제가 일어날 때 마다 바이러스마다 새로운 유전
물질
이 생긴다”고 말했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때문에 변이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마리아 반 케르코브 WHO 코로나19 ... ...
이어도 과학기지 주변은 동북아 바다의 급격한 플랑크톤종 변화 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물론 해양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질소 오염
물질
유입에 의해 해역의 영양염 및 생태계 변화가 가장 빨리 나타나는 곳이 이어도 과학기지 해역이라는 사실도 규명했다. 이기택 교수는 “이어도 해역에서 나타난 변화는 가까운 시일 내에 한반도 ... ...
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역시나 코로나19 연구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정도를 실시간 감시하는 현택환 IBS 나노입자연구단 단장팀의 연구와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
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원리를 증명하고 효능을 입증한 임미희 KAIST 화학과 교수팀의 연구도 선정됐다. 3차원 간 칩을 이용해 암 전이 과정에서 나노소포체의 역할을 규명한 조윤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