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그래서 이들 우주의 쓰레기 제거가 커다란 과제로
남아
있다. 1주일에서 1백만년까지의 수명 인공위성은 그 임무에 따라서 기상위성 지상관측위성 통신방송위성 항법위성 군사첩보위성 조기경계위성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외에 우주공간 실험용 각종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준다. 그럼에도 모든 사람이 그것을 수긍한 것은 아니었다. 사건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두가지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중앙 시베리아는 아마도 그런 사건이 인명의 살상없이 일어날 수 있었던 유일한 장소라는 것이다. 만약 그것이 바다에서 일어났다면, 급격한 해일을 일으켰을 것이다.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전개인 발생학과 진화의 결합을 이끌었음에 틀림없다. 이러한 것들은 깊은 신비로
남아
있으며, 컴퓨터 모델들은 그들이 어떻게 일어났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그럴듯하게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인가를 보여주려는 데에 있다. 과학자들은 최근에 들어서 가지치기(branching)나 식물의 톱니 구조와 같은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TV 뉴스에서도 우리의 남극기지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가득 실은 3만4천t급 남극개척호가
남아
메리카 남단에 있는 칠레의 발파라이소항구에서 남극행 최종점검을 하고 있으며 곧 현지로 출발할 것이라는 소식을 전해주었다. 기지는 킹 조지섬 바톤반도의 남위 62˚13′15″ 서경 58˚45′10″ 지점에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거의 비번식집단(번식하지 않은 무리)이며, 붉은부리갈매기도 적은 무리나마 그곳에
남아
있는 비번식집단들이있다. 무지개등과 장자등에서 16종 1천1 백여개체와 17종 1천1백여개체가 각기 관찰되었으며 무지개등 북쪽 (대마등과의 사이)에서 12종 4백80 개체와 갈매기등에서 15종 4백50개체가, 또한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으며 분해가 어려운 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균주의 개발도 연구과제로
남아
있다. 이런 분야외에도 근자에 와서 주목받기 시작한 유전공학 또는 생명공학이라는 기술이 젊은 학도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주는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생명공학의 다섯 분야 생명공학에는 다섯가지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받고 시판되고 있을 정도. 하지만 피라미드에 어떤 힘이 작용하는지는 불가사의로
남아
있고 과학적 규명이 안된 상태다. 유교수는 이 힘이 바로 '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는 에너지의 흐름이며, 한곳에 모인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자기장을 매개로 해서 '기'가 물질로 될 수 있으며, 반대로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확장과 질적인 향상 등을 고려할 때 정부가 생각하는 15만명의 과학자수는 넘쳐
남아
나는 수자가 아니라고 본다. 과학자에 대한 수요는 그리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본다. 문 순수히 학문생활을 한다 해도 보다 유망한 분야가 있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 특히 한국사회가 보다 필요로 하는 학문이 ... ...
우리의 옛 선조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밝혀 졌다. 따라서 지구는 그 보다 더 오래 됐을 것이 틀림없다. 처음부터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는 운석들은 나이가 약45억년되었다고 보여지는데, 이것은 현재 지구와 태양계의 나이로 여겨지고 있다. 만약 여러분이 암석속에 파묻혀 있는 원인의 뼈를 발견한다면, 자연적으로 여러분은 암석의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루려던 노력의 흔적은 '동의보감'을 비롯한 이조시대의 의학서중에도 그다지 뚜렷하게
남아
있지 않다. 그 까닭은 한국 사상은 고대로부터 한국의 특산물인 인삼과 녹용을 가장 좋은 강장제로 믿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의약사상과 불로불사보다 현세와 미래의 평안을 희구하는 유교나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