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탁소관리를 자동화해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기록한다. 이 정보는 디스켓내에 "DELIVERY"라는 파일에 저장된다.●890~1080 : 배달이 안된채
남아
있는 세탁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림2)에서 '4'를 선택한다.(그림4)에서 입력한 세탁물중 (그림9)에서 121번을 배달하였으므로 미배달 세탁물은 111, 131번으로써(그림11)과 같이 결과가 나타난다.●1190~1460 :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신라시대에 이런 해상활동은 정점에 달해 장보고는 동지나 해상권을 장악했다.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이 당시의 세력이 인도네시아의 자바지방에까지 미쳤다는 주장도 있다. 아뭏든 분명한 것은 활발한 해상활동의 근저엔 우수한 조선술과 선박이 있었다는 점이다. 신라시대의 선형(船型)은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상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1호를 쏘았을때의 충격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아
있지만, 묵묵히 이것을 보고 어떤 결심을 한 사나이가 중국에 하나 있었다. 그의 이름은 모택동. '우리도 이것을 우리의 힘으로 만들어 띄워야겠다'하고 그는 1958년 행동을 개시했다. 그는 1958년에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그리고나서 그 결과물은 구워져서 일종의 인조석으로 만들어졌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남아
있는 서사시는 '길가메쉬'로 그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딱딱한 표현 위에 글을 쓰는 다른 형태들은(밀랍이 칠해진 판 위에 날카로운 도구로, 석판 조각위에 석필로) 유용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책의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해저 3천6백m에서 인간의 뼈는 75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칼슘이 분해되기 때문에 흔적이
남아
있기 어렵다고 생각했읍니다." -수심 3천6백m에서 물건들을 끌어 올리는데는 대단한 노력이 들었겠는데요. "그럼요. 물건들을 파손되지 않게 조심 조심 모으고 그것을 또 손상되지 않게 해상의 모선으로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제약회사측이 국산은행잎의 전국총생산량을 다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데, 굳이
남아
돌아가는 은행잎의 수출을 금지할 필요가 있으냐는 반론을 펴고 있다. 이처럼 은행잎의 수출을 둘러싼 다툼이 6년째 끌어오자 관계당국에서 이 문제를 깊이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은행나무잎전쟁'으로까지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명을 제외한 5쌍동이가 예정보다 아주빠르게 제왕절개수술로 태어났다. 다섯쌍동이는
남아
2명 여아 3명으로 체중은 0.77kg에서 1.65kg였다. ■ 인공심장 이식수술 시도부천에 있는 세종병원은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송아지에 인공심장이식수술을 시도했다. 10월26일 6차로 시도된 ... ...
중국의 황산(黃山)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않고 있다.황산의 구름과 안개에 싸인 봉우리마다의 사이에는 아직도 많은 수수께끼가
남아
있다. 그러나 중국인이 황산을 사랑하는 마음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 이곳에는 중국 산수의 모든것이 응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의 동양의 기묘한 환상과 꿈의 이미지를 실현하고 있는 ... ...
가장 중요한 화석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 '도마뱀"은 깃털을 가졌던 것이다. 깃털의 흔적은 지금도 의심할 여지없이 생생히
남아
있다. 깃털은 꼬리끝까지 두 줄로 나 있으며 또 앞발(날개)에도 나 있다.오늘의 세계에서 알려진 모든 새는 깃털을 갖고 있으며, 또 새가 아닌 모든 생물에게는 그것이 없다. 따라서 이 화석은 대단히 오래 되고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자기 학문을 존중하고 작은 진실을 소중히 여기는 학자였다. 그 인상은 뇌리에 생생히
남아
지금까지 나의 연구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물안 개구리였던 나에게는 모든 것이 새로웠고 두번 다시 없는 기회였음은 말할 나위없는 일이다.밤낮도 없었다. 시간에 쫓기던 나머지 유독하기로 이름난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