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나 낼게요. 아래 맨 왼쪽 그림은 4×4 격자에서 하는 도트 앤 박스로, 레드가 먼저 시작한 게임입니다. 완성된 상자가 한 개도 없고 선분이 짝수 개 있으니 레드가 그릴 차례예요. 만약 여러분이 레드라면, 다음 두 가지 전략 중 어떤 전략을 택할 건가요? 선분을 하나씩 추가하면 상자 4개를 연달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단어다.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이 이름을 붙인 신전이 있는데, 무슬림의 순례가 시작되고 끝날 정도로 중요한 장소다.전시를 둘러본 기자단 친구들은 한쪽에 마련된 교육장에서 오늘 봤던 다양한 유물들을 되짚어 봤어요.많은 친구들이 인상 깊었던 유물로 ‘카바 신전의 문’을 뽑았어요.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러자 카울로박터는 표면에 스스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부착 물질을 생성하기 시작했다. 모터가 숙주의 점막 표면을 인지하는 센서처럼 사용된 것이다. 예날 교수는 “우리는 세균이 기계적 자극을 읽는 방법과, 이런 신호에 반응해 어떻게 행동을 바꾸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며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면 자리에 눕고 “걸어 가” 하면 걷기 시작하는,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않았다. 오성회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사람의 말과 행동 간의 관계를 스스로 습득하는 인공신경망인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인식 시스템인 ‘페이스ID’가 탑재됐다. 얼굴 인식 기술 개발은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두 눈 사이의 거리, 콧등의 길이 등 얼굴 부위를 측정해 이를 인식 대상의 얼굴과 비교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얼굴의 데이터가 쌓일수록 인식률은 오히려 떨어졌다.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표현을 쓰나보다. 호일을 비롯한 정상상태 우주론파 학자들은 특이점으로부터 우주가 시작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주장이라고 공격해 왔는데, 호킹은 특이점이 생기는 현상이 문제가 없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우주 팽창을 주장하는 빅뱅 우주론에서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물질의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지만, 나라마다 다를 수 있다”며 “한국도 서둘러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프렙을 전세계 에이즈 예방을 위한 중요 조치 중 하나로 제안하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대한에이즈학회 HIV 노출전 예방요법 지침 제정위원회는 올해 8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영향을 준 사건들을 소개한다. 시작은 모든 것의 기원인 ‘빅뱅’이다. 빅뱅에서 우주가 시작하고 우주에서 물질이 만들어진 뒤 물질에서 인간이 탄생하고 인간이 문명을 이룩한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친근한 이야기들을 활용해 독자 스스로 판단하고 재미있게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같다. 주문을 받고 재료를 꺼내야만 요리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사장 혼자 일을 시작한다. 또 야채볶음이 끝나야만 음식을 포장하고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장이 포장과 제공작업을 한다. 이때 사장 대신 종업원B가 음식 포장과 제공을 맡아도 공평한 분배가 이뤄지는데, 여러 분배법 중 작업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판소리는 우리나라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전해 내려온 전통음악으로, 언제 어떻게 시작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습니다. 판소리는 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양식이라 판소리를 구성하는 대본이 있어야 하고, 이를 노래로 부르는 사람이 있어야 하지요. 북을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춰 부르는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