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시작
하는 부분처럼 ‘3+3+2 리듬 패턴’이 나타나거든요. 또한 부정맥 리듬은 가끔 갑자기
시작
하거나 갑자기 멈춥니다. 이 리듬이 음악이 될 수 있는 이유지요. Do you plan to use your heartbeat music in medicine?The music conveys to listeners the sensati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취미로 퍼즐을 즐기는 사람도 많지 않으니까요. 그게 너무 아쉬워 후배를 양성하기
시작
했어요.” 곽 주장은 직접 문제를 출제해 국가대표를 선발하고, 훈련도 시킨다. 그런데 정말 수학을 잘하면 퍼즐도 잘할까? 곽 주장은 퍼즐은 몰라도 스도쿠는 수학을 잘하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를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액션!"웅장하게
시작
하는 첫 곡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첫 곡으로 ‘벽’이라는 극의
시작
을 알리는 것이지요. 그리고 첫 곡 끝에 녹음된 아기 울음소리로 주인공 핑크의 탄생을 알립니다. 이어지는 곡에서 핑크의 유년기 이야기가 흘러나옵니다. 그러다 핑크는 가족 문제로 첫 번째 벽을 쌓습니다.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찬드라’가 빈민가 나무 아래에 아이들 몇 명을 모아 힌디어, 영어, 수학을 가르치면서
시작
됐지요. 자전거 뒤에 묶인 수레에 사람을 싣고 달리는 릭샤꾼과 쓰레기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부모들이 아이들을 나무 아래로 보낸 거예요. 대부분 공립학교 등록 비용조차 마련하기 어려운 가정의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건조한 봄철, 사람의 실수가 큰 불 부른다이렇게 큰 피해를 일으킨 산불은 어떻게
시작
됐을까요? 놀랍게도 모두 사람의 실수 때문인 것으로 보여요. 강릉과 삼척은 등산객의 실수로, 그리고 상주는 농작물을 태우다가 산으로 불이 옮겨 붙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거든요.실제로 산불의 원인은 대부분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쓰레기를 집 삼아 살기
시작
한 소라게들의 모습이 전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답니다. 플라스틱을 집으로 삼으면 환경호르몬 등의 영향 때문에 수명이 짧아질 수밖에 없어서 소라게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레일리 호주 시드니대 교수 등과 마요라나 페르미온 양자컴퓨터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했다. 양자컴퓨터를 연구하는 스테이션 Q의 규모도 3배 키웠다. 박 교수는 “실제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관측과 상관없이 인공적으로 입자를 만드는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박사는 스타이츠 교수와 차를 마시다가 얻은 아이디어로 이튿날부터 새로운 연구를
시작
했다. 6개월 뒤 두 사람은 키모트립신이라는 효소의 구조와 작용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헨더슨 박사는 기자에게 그림 한 장을 보여줬다. LMB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였다. 마치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막는 억제 단백질이 있는데, 이것이 세포분열 과정에서 희석돼 유전자 발현이
시작
된다는 가설입니다. 예를 들어 수정란에 억제 단백질 8개가 DNA를 꽁꽁 묶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세포분열 이후 수정란이 8세포기로 접어들면 세포 각각에 있는 억제 단백질은 1개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한편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0명 이상이 부상을 당했다. 그런 가운데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진이 단층이 파열되기
시작
할 때 나타나는 특수한 패턴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22일자에 게재했다. 현재까지 지진 예측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대다수 지진학자들의 중론이었다. 하지만 최근 지진을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