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은 양의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필요하고, 반응을 시작할 때도 적지 않은 화약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반면 증폭형은 소형화가 쉬워 대륙간탄도미사일에도 장착이 가능하다.폭발 규모로 어렴풋이 추측하는 것 외에, 보다 확실한 방법은 없을까. 대기 중 제논의 동위원소 비율을 통해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됐다.안타깝게도 이 날짐승들의 공존은 지금으로부터 약 6600만 년 전, 백악기 대멸종 사건으로 끝나버렸다. 익룡은 멸종해버렸고, 오늘날에는 새들이 그 뒤를 이어 하늘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과거의 익룡처럼 아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새가 ... ...
- [수학뉴스] 파워볼 당첨 확률, 수학적으로 어느 정도?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무려 11,238,513이고 여기에 마지막 파워볼인 붉은 공의 경우의 수인 26을 곱하면 292,201,338로 약 2억 9000만입니다.미국 조지아 공대의 루 레프톤은 파워볼의 당첨 확률을 재미있게 묘사했습니다. 운동장에 1페니 동전이 놓여 있다고 가정할 때, 눈을 가린 사람이 걸어서 그 동전과 같은 위치에 또 다른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한국과 차이가 있었나요?약 20년 전만 해도 한국의 연구 환경이 척박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외국 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기위해 논문을 입수하는 것조차 힘들었죠. 그런데 지금은 전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세어 보세요. 모두 홀수입니다. 그 이유는 창호의 중심을 쉽게 찾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가로살의 개수가 짝수라면 중심을 찾기 위해 결국 자를 써야 합니다. 자와 같은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쓰게 된 것입니다.그리고 그으려는 금의 개수만큼 못이 박힌 ‘그므개’라는 도구를 써 창호의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선 지사탐에서 꿀벌탐사 현장교육을 들으며 꿀벌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았죠. 또 약 3년 동안 민욱이형 가족과 함께 탐사한 자료를 합쳐 분석하기도 하고요.이렇게 대회 준비를 할 수 있었던 건 다 지사탐 덕분이라고 생각해요. 지사탐이 아니었다면 이런 대회가 있어도 그냥 지나쳤을 테니까요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베일에 싸여 있던 구글의 지주회사 ‘알파벳(Alphabet)’이 향후 어떤 사업을 펼칠지 힌트가 될 특허기술을 공개했다. 알파벳의 생활과학 사업부인 ‘ ...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구글과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노바티스가 공동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웃어도 활짝 웃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4. 편안한 템포는 따로 있다만약 귀에 이어폰을 꽂을 용기가 없더라도 걱정하지 마시라. 함께 밥 먹는 식당에 노래를 신청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조심해야 한다. 괜히 식당과 맞지 않는 음악을 신청하다가 본전도 못 찾을 수 있다. 그럴 땐 ... ...
-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이는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들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현재 두 약물은 원형 탈모와 관련해 임상실험 중인데, 추가 연구를 마치면 바르는 형태도 임상실험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과연 크리스티아노 교수는 많은 탈모인들의 염원을 이뤄 주는 ‘탈모 여신’이 될 수 있을까.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모종은 약 1년이 지나면 듀공이 먹을 수 있을 만큼 자란다. 또 2년이 지나면 해초끼리 뿌리가 엉키면서 단단해지고 옆으로 점점 퍼지면서 숲을 이루게 된다.김민상 탐사대원은 “우리가 직접 심은 해초 숲에서 듀공이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