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한국과 차이가 있었나요?약 20년 전만 해도 한국의 연구 환경이 척박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예전에는 외국 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기위해 논문을 입수하는 것조차 힘들었죠. 그런데 지금은 전자 ... ...
- [News & Issue]우주최강 생명체 ‘물곰’ DNA 갑론을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유전자 때문이라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밝혔다. 연구팀은 물곰의 유전자 중 약 17%가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일반적인 동물의 외부 유전자 비율이 1%인 것에 비해 훨씬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그런데 12월 1일 그에 대한 반박이 ‘생물학공개학술지(bioRxiv)’에 발표됐다. 영국 에든버러대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해양오염물질의 대다수는 소수성을 띤다. 이모젠 네퍼 교수팀은 각종 염료나 의약품의 합성 원료로 사용되는 페난트렌과 살충제 성분인 디디티(DDT)가 특히 미세플라스틱에 잘 흡착된다는 연구결과를 2015년 9월 15일자 ‘해양오염회보’에 발표했다. DDT는 현재 사용이 금지됐을 정도로 독성이 심하고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다.물리학자들은 자연계의 4가지 힘, 즉 중력과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을 결국에는 통일된 물리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입자들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세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강해지는데, 매우 가까운 거리에 이르면 결국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년 01호
- 9조 원이나 되는 데도(2014년 한해 6조7000억 원),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예산은 1475억 원, 약 1.6%에 해당하는 금액에 불과했다. 2016년에는 여기서 160억 원이 더 줄 예정이다. 2014년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유현재 서강대 교수에 의뢰해 제작한 ‘한국형 담배경고그림 10종’ 중 일부다.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다른 유럽 국가로 오가는 유로스타가 다닌다(역 주변엔 ‘맛집’도 즐비하다!). 글로벌 제약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2003년 완료된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주도한 생어연구소도 모두 차로 1시간이면 갈 수 있다.[연구소에서 정기적으로 여는 대중 토론 행사‘크릭 챗(Crick Chat)’.크릭 연구소 ... ...
- [과학뉴스]멍멍! 세계 최초의 시험관 개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든 연구팀은 이를 냉각시켜 안정된 상태로 만든 뒤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켰어요. 약 2달 뒤, 대리모는 7마리의 건강한 강아지를 낳았답니다. 3마리의 암컷 강아지와 4마리의 수컷 강아지였지요.트래비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희귀한 야생 개과 동물들을 보존하거나 개의 유전적 질병을 치료하는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추측했다. 그리고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과연 약 2억 년 뒤 세계지도는 어떻게 생겼을까?우리 중에 그걸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겠지만, 수학과 과학으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도움 및 논문 : 최덕근 서울대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위치는 다음과 같아요. 이렇게 구한 식들을 공통된 변수로 묶고 하나로 합쳐, 새총을 약 25°로 당겼을 때 1초당 약22.5864앵그리의 속도로 새가 튕겨져 나간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게임 노하우는 바로 직감적인 수학 능력!앵그리버드에서는 빨간 새 외의 여러 가지 새가 색깔별로 운동 변환을 해요.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 있는 인간은 언제나 자신에게 최고로 이익이 되는 선택을 한다고 주장했어. 이 이론은 약 200년간 유지됐는데 여기에 22살 어린 수학자가 반기를 들었어.”“설마 그 이론에 반기를 든 사람이…!”“맞아. 나였네. 게임이론을 공부하던 나는 다른 생각이 들었지.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여러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