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억력 키워주는 장미향과학동아 l2007년 04호
- 아무런 향을 맡지 않았다. 숙면을 취한 다음날 아침 이들은 전날 외운 카드의 그림과 위치를 묻는 시험을 치렀다.깊은 잠에 빠졌을 때 장미향을 맡은 그룹의 정답률은 97%였다. 이는 장미향을 맡지 않은 그룹의 정답률이 86%인 것에 비하면 높은 수치다.본 박사는 “장미향이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 ...
- 마우스 조작을 눈으로?과학동아 l2007년 04호
- 보면 응시하는 곳의 화면이 부분적으로 확대된다. 이어 확대된 곳 가운데 원하는 위치를 바라보며 단축 키에서 손가락을 떼면 클릭이 되는 방식이다.사실 과학자들은 1990년대 초부터 눈추적 기술을 연구해왔다. 위고그래드 교수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해 눈의 깜박임 ...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과학동아 l2007년 04호
-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는 남위 17도와 서경 1백50도에 위치하는 타히티섬과 호주 대륙 다윈의 월 평균 기압의 편차로 나타낸다 남방 진동지수는 평상시에는 양의 값을 가지나, 엘니뇨 기간에는 음의 값을 갖는다 이는 인도네시아 부근 서태평양의 저압부가 태평양 ...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과학동아 l2007년 04호
- 혼천의(渾天儀)라고 불렀다. 여기에 망통(望筒, 보는 대롱)을 설치하면 다양하게 천체 위치를 관측할수있는 훌륭한 기구가 된다.혼천의는 중국에서 오랜 옛날부터 사용돼왔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상 가장 유명한 혼천의는 중국 후한시대의 장형(張衡, 78~139)이 만든 것이다. 혼천의에는 경우에 ...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아미노산에 대해 특이적인 효소가 알려져 있다 분자량은 10312이며 아미노기가 붙어 있는 위치에 따라 α, β, γ의 구조이성질체가 있다 녹는점은 307℃(분해)이다 갑각류의 신경근(神經筋) 접합부, 포유동물의 소뇌(小腦) · 척수 · 후각 · 흑질(黑質) · 해마 등에 많이 존재하는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로 ...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원형으로 처리해야 한다.또 충돌할 때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는 적절한 위치에 놓아야 한다. 과거에는 연료탱크를 대부분 차량 바닥에 뒀는데, 뒤에서 추돌사고가 일어나 화재가 나는 사례가 늘면서 현재는 모두 뒷좌석 아래로 옮겼다.최근 자동차 실내 디자인은 디지털 느낌의 금속성, ... ...
- '외과의사 봉달희'따라잡기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이유는 심장에 판막이 있기 때문이다. 판막은 심장에서 피가 들어오고 나가는 입구에 위치해 혈류의 역류를 막는 깔때기 모양의 구조물이다. 흉곽을 압박하면 심장에서 나온 피가 판막 때문에 뒤로 밀리지 않고 혈관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 전기충격기는 제세동기환자의 가슴에 전기충격을 주는 ... ...
- 마야 멸망이 던지는 기후 묵시록과학동아 l2007년 03호
- 티와나쿠다. 안데스의 높은 고원에서부터 오늘날의 볼리비아, 칠레, 그리고 페루가 위치한 티티카카 호수 주변에까지 이르는 넓은 지역을 700여년간 지배했던 티와나쿠는 대략 1000년 전 가장 융성했다.티와나쿠 경제의 핵심은 집약농업의 정교한 수리시스템이었다. 티와나쿠에는 높이 솟은 언덕이 ... ...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만들었다.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탄성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리히터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지진을 관찰하며 지진의 규모를 결정하는 방법을 최초로 고안했다.지진의 규모는 진앙에서 100km 떨어진 곳의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최대 ... ...
- 새 1만 원 권에 담긴 조상의 슬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3호
- 새 1만 원 권에 한국의 천문과학이 가득하다. 한국은행은 새 1만 원 권에 천상열차분야지도라는 옛날 천문도, 혼천의라는 천문 관측기구, 보현산천문대의 천체 ... 1996년 설립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큰 지름 1.8m짜리 천체망원경이 있다.*천문도 : 별과 별자리의 위치를 그린 하늘 지도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