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리하고 재급유하는 임무를 하는 프로그램, 초소형위성을 우주무기화하는 프로젝트도
조금
씩 진행되고 있다.스푸트니크 충격으로 시작된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충격을 받은 미국이 1958년 1월 무게 13.9kg의 소형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함으로써 시작됐다.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 자리에 거울을 단 것이다. 거울을 들여다보았다. 양 볼이 뿌루퉁한,
조금
지치고
조금
야윈, 위로가 필요한 여자가 그 안에 있었다. 가여웠다. 매일 서너 번은 거울을 보지만 그때는 이런 느낌이 들지 않았다. 새로 갈아입은 치마가 유독 짧은 바람에 무릎에 난 생채기가 드러났다. 세로로 앉은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공기 중에 늘어나면서 온난화는 더욱 빨라진다.해수면이 계속 상승해 바다가 육지를
조금
씩 먹어 들어간다. 생태계의 대부분이 심각한 타격을 받으며, 각종 자연 재해와 물, 식량의 부족으로 인간의 생존조차 위협받기 시작한다.서기 2080 년 아열대 한국+5.5℃이렇게 해서 지구가 엉망이 된 거로군.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한국전력에서 숫자를 잘못 쓴 걸지도 모른다며 어서 계량기부터 보자고 성화다.
조금
뒤, 집 뒤편에 있는 계량기 발견! 어떻게 돌아가나 숨죽여 지켜보는데….“엥? 화살표 방향과 반대로 돌아가잖아!”계량기는 사용한 전기량을 숫자로 나타내는 장치다. 천 단위까지 표시하는데, 천 단위를 넘어서면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사실 고양이의 식성은 몹시 까다롭다. 신선한 생선이나 고기에는 열광하지만
조금
오래된 음식이다 싶으면 냉담하게 고개를 돌리기 일쑤다.고양이에게 ‘천대’를 받는 또 다른 음식은 바로 달콤한 설탕. 2005년 미국 모넬화학감각센터의 시아 리 박사팀은 고양이가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는 연구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것을 (전기)쌍극자 또는 2중극이라고 한다전기4중극은 방향이 반대인 전기2중극이
조금
어긋난 전하분포상태를 말한다 하전입자의 집속에 쓰이는 자기극 네 개를 가진 전자석 이 전자석은 중심축을 z축으로 하면 y-z면 내 및 x-z면 내의 운동에 대해 각기 집속렌즈 및 발산렌즈 또는 그 역의 작용을 ... ...
PART1 수학을 알면 돈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못하는 원숭이의 어리석음을 꼬집는 말이다. 그러나 금융공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조금
다르다.현재의 100만원과 1년 뒤의 100만원이 같은 가치를 가질까. 연이율 5%인 은행예금에 100만원을 가만히 넣어두기만 해도 단리로 계산하면 1년 뒤 105만원이 된다. 거꾸로 1년 뒤의 100만원을 현재가치로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우주볼펜’ 실험이다.우리가 흔히 쓰는 볼펜은 잉크가 아래 방향으로 중력을 받으며
조금
씩 새 나오기 때문에 글씨를 쓸 수 있다. 따라서 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우주공간에서는 볼펜을 쓸 수 없다. 거금의 연구비를 들여 우주볼펜을 자체 개발한 미국과 달리 러시아는 ISS에서 연필을 쓴다고 ... ...
세계의 어린이날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행사가 없대. 365일이 어린이날이라고 할 정도로 어린이를 많이 배려하기 때문이래.
조금
부럽지?하지만 미국 친구들도 손꼽아 기다리는 날이 있는데 바로 할로윈이야. 10월 31일 밤. 할로윈이 되면 무섭거나 재미있게 분장을 하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과자를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치겠다는 듯의 ‘트릭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노인성은 원래 청백색의 밝은 별이지만 늘 지평선 부근에서만 보여 대기의 영향 때문에
조금
붉게 보인다. 아마 이 탓에 술에 취해 얼굴이 불그레한 노인을 상상하지 않았을까. 수성노인도는 장수를 비는 의미에서 회갑을 축하하는 그림으로 많이 그려졌다.최근 경남 남해 금산과 제주 서귀포시는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