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생각이 들게 된다. 그것은 ‘기억상실증’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 아니라
주로
영화나 소설을 통해 극적으로 체험되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나의 정체성이 내 머리 속에 남아있는 기억과 나에 대한 타인들의 기억으로 규정될 수 있기에, 기억을 잃어버린다는 설정은 오랫동안 영화의 단골 ... ...
궁궐의 우리 나무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냈다.해인사 팔만대장경판, 무령왕릉 관재를 비롯해 침몰선박과, 사찰 건축재 등
주로
나무로 된 문화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문화재분석에 과학을 결합시키는데큰 전기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된다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구조 시스템. 고딕 이전의 교회들은 보울트를 십자형으로 교차시킨 크로스 보울트를
주로
채택했다(그림 7). 그러나 이것은 벽이 곧 지붕으로 연장되는 아치의 일종이기 때문에 엄청난 무게를 요했고 결국 무게 때문에 공간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고딕의 기술자들은 이 벽을 기둥으로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아울러 생화학 무기의 출현으로 테러리즘 양상이 바뀌고 있다. 종래의 테러리즘은
주로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해 자행됐다. 그러나 동경에서 발생한 옴 진리교의 사린가스 사건에서 증명됐듯이 오로지 불특정 다수의 시민을 살상할 목적으로 행동하는 테러리스트들이 세계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다 ... ...
생생 화질, 입체 음향 디지털방송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인치까지는 프로젝션TV 방식이, 그 이상의 80-1백20인치 크기는 LCD나 DLP 방식의 프로젝터가
주로
사용된다. 보통 아날로그TV는 화면이 커지면 커질수록 화면이 거칠어지고 주사선이 보이는 등의 원치 않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HDTV의 경우 오히려 화면의 크기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더욱 진가가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울렸다. 백혈병에 걸린 주인공을 내세우는 드라마는 가을동화 외에도 많다. 극중 인물은
주로
코피를 흘리는 것으로 병의 시작을 알린다. 그리고 백혈병 진단 후 대부분 2-3개월 이내에 사망함으로써 드라마는 종영된다.먹는 항암제 복용 후 병세 회복백혈병이란 일종의 혈액암이다. 정상인의 골수에 ... ...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바이러스나 유해 프로그램 명칭이다(이 때문에 Hi! How are you?는 서캠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로
프로그램 내부의 코드 중 특징적인 단어를 추출해 사용하게 되는데, 백신업체별로 임의로 명명하기 때문에 간혹 같은 것을 다르게 부르는 경우도 있다.만약 같은 바이러스인데 변종이 발견된 경우에는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십-수백nm에 이르는 훨씬 더 큰 나노물질을 조작할 수 있다.AFM을 이용한 나노조작은
주로
AFM 탐침과 시료 사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수년 전 IBM연구소 아보리스 박사 연구진은 이러한 AFM으로 탄소나노튜브를 반도체 표면에서 움직여 새로운 나노 디바이스를 만들어냈다. 또한 비슷한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인공위성과 전자장비의 기술에 힘입어 21세기에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블랙홀은
주로
블랙홀로 유입되는 물질에서 방출되는 X선에 의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 이때 유입되는 물질은 블랙홀 주위의 가스나 원반에서 흘러들어온 것이다. 이런 X선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블랙홀에 대한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그는 “지방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읽었다”고 말하며 처음에는 물리학에 관련된 책을
주로
읽다가 천문학 책에 더 재미를 느꼈다고 밝혔다. 책을 빨리 읽는 속독에 능하다는 얘기도 나중에 전해 듣게 됐다. 인터뷰에서 그는 영국의 흐린 날씨 때문에 어렸을 때 별을 보지 못했던 것이 안타까웠다는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