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교수,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기술융합 연구단장,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진행을 맡은 과학동아 윤신영 기자(왼쪽부터).]서 단장은 “광학현미경의 원리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겠다”며 기발한 비유를 들었다. 자신을 분자라고 가정한 다음, 빛에너지를 얻어 들뜬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창이었다. 이곳에서는 진짜 발전소 규모의 장치를 이용해서 핵융합 에너지 실험을 진행한다.실제 전기 생산 직전까지 실험이터는 기념비적인 프로젝트다. 지금까지 연구해온 초전도 토카막 건설과 운영 기술, 플라스마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인터스텔라는 아무리 잘 만들어졌다고 해도 분명 이야기를 진행하기 위한 허구가 있는 SF영화다. 항성간 여행을 하는 우주선과 우주에 임시 거주지를 만들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다면 지구를 살기 좋은 곳으로 개조하는 것이 더 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완성해 공모전에 입상한 학생도 있다. 교내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회사 상사에 대한 분노다. 상사의 지시로 10년 간 적외선, 적색 LED를 연구했지만 성과가 없었다. 회사에서는 쓸모 없는 인재로 찍혔고, 모든 책임이 내게 돌아왔다. 결국 회사 창업자와 담판을 통해 미국 플로리다주립대로 연수를 갔고, 여기서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중요한 질화갈륨에 대해 배울 수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SCK·CEN)는 2017년 착공을 목표로 실험용 원자로 프로젝트 ‘미라’ 를 진행하고 있다. SCK·CEN 원자력시스템연구부 임준 박사는 “지난 4년 동안 벨기에 정부로부터 6000만 유로(약 8100억 원)를 지원 받아 건설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현재 약 100명의 연구진이 이론과 원자로 설계 등을 연구하고 ...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013년 4월 15일 월요일, 미국 보스턴에서는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행사는 계획대로 척척 진행됐고 테러 조짐도 없었다. 하지만 2시 50분경 결승선 직전인 코플리 광장 근처에서 두 개의 폭탄이 170m 간격을 두고 연이어 터졌다. 마침 마라톤 완주자가 속속 들어오고 있던 터라 피해가 컸다. 이 일로 5명이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로봇 연구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오리가미 로봇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최근 자동차 바퀴를 오리가미 방식으로 접어 만든 일명 ‘가변형 바퀴 로봇’을 발표했다. 바퀴 로봇은 도로를 달리다 계단이나 장애물을 만나면 스스로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우주를 이루는 입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 보통 물질은 쿼크(Quark)와 전자 같은 페르미온(Fermion)의 결합으로 생긴다. 이런 물질의 미세한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클리퍼드 수를 값으로 갖는다는 사실은 20세기 과학의 중요한 발견이었다.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