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우주를 이루는 입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 보통 물질은 쿼크(Quark)와 전자 같은 페르미온(Fermion)의 결합으로 생긴다. 이런 물질의 미세한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클리퍼드 수를 값으로 갖는다는 사실은 20세기 과학의 중요한 발견이었다.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스크래치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가장 기초 단계부터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PC로 스크래치의 기본 기능과 용어에 대해 배우며 수업을 시작했다.스크래치란?스크래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컴퓨터공학과 미첼 레즈닉 교수가 만든 교육용 소프트웨어로, 이를 이용하면 ... ...
- INTRO. 노벨과학상 2014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 10월 8일 저녁, 대전 KAIST 앞에 몰린 수많은 기자들이 탄식을 쏟았다. 올해도 한국인이 노벨 과학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논문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매년 노벨 과학상 후보를 예측하는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1879년 에디슨이 백열등을 발명한 이후 인류는 전기를 적게 쓰고 열이 적게 나며 크기는 작은 전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형광등은 백열등보다는 효율이 높고 열이 덜 나지만, 전기를 상당히 소모하고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않았다. 1960년대에 LED(발광다이오드)가 개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2010년까지 그의 연구실에서 공부하게 됐다. 헬은 특이한 교수였다. 학생들에게 “일이 잘 진행되고 있느냐” 묻지 않고 늘 “지금 행복하냐”고 물었다. 연구 자체가 즐거워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휴가를 보내야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신조였다. 필자를 포함해 8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사를 갈 수만 있다면 Y 염색체 역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비교적 연구가 많이 진행된 다른 동물로 눈을 돌려보자. 동물의 Y 염색체에는 약 200개의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수컷을 결정한다고 정확하게 확인된 것은 단 하나, SRY 유전자다(성을 결정하는 유전자라는 뜻으로 ‘Sex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구조와 기능적인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색을 수정했기 때문입니다. 열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언제였나요?사실 새로운 열매의 촬영을 시작할 때마다 늘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열매를 보면서 이 열매엔 어떤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이 숨겨져 있을지 생각해 보거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자연계에는 자연스러운 연산구조를 가진 사물들이 의외로 많다고 이미 강조한 바 있다. 이번호에서는 7월호에서 언급했던 공간 기하 그 자체의 연산을 발견한 헤르만 그라스만의 업적을 되새겨 보자.연산과 기하 과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는 직관이 놀랍도록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지난 여름을 뜨겁게 달군 것 중 하나는 아이스버킷 챌린지다.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돕기 위한 기부 이벤트로 벌어진 이 행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등의 유명인사가 참여하면서 전세계에 유행처럼 번졌다. 그런데 그 중심에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SNS가 자리잡고 있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냈고, 지원금을 받는 데 성공했다. 이후 UCLA 교수로 임용돼 그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도 발표했다. 정말 재미있는 건 그 이후다. ‘네이처’에 논문이 발표된 순간, 반대하던 모두가 “정말 좋은 아이디어다”라며 칭찬하는 게 아닌가. 모든 새로운 일은 성과가 나온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