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사건이 있는 곳엔 언제나 썰렁 홈즈가 있다! 계속되는 활약으로 썰렁 홈즈는 어느새 탐정계의 스타가 되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썰렁 홈즈에게 사건 의뢰가 ... 보고 싶어서 자신의
모습
을 범인의
모습
으로 슬쩍 단서를 던진 것 이었다. 앞의 단서3에서 정원사의
모습
을 자세히 살펴보라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정말 하찮아 보이는 하루살이를 몇 시간이고 관찰하는 그의
모습
이 참으로 이상했던 것이죠. 그래서 왜 그런 힘들고 의미 없는 일을 하고 있냐고 물었더니 박사는 이상한 표정을 지으며 대답했습니다.“나는 이 하루살이를 채집하고 연구하는 일을 하는 덕분에 유명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12
없다. 필요한 것은 단지 밝은 실내와 20℃ 내외의 실내온도 뿐.6개월 이상 꽃이 피어있는
모습
을 보고 싶다면 함부로 코르크 마개를 여는 짓은 삼가야 한다. 자칫 시험관 안의 무균상태에 균형이 깨져 곰팡이가 발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초소형식물만 해도 장미뿐만 아니라 포도,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12
별빛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타성을 시야 밖에 두고 관측하는 것이 좋다. 이 성운의
모습
은 마치 나뭇잎처럼 생겨서 크리스마스트리성운이라는 별칭이 붙어있기도 하다.망원경을 사용했을 때 눈으로 말머리성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있다. 오래 전 많은 관측자들은 ... ...
어디서나, 누구나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200412
테마로 진행된 이번 패션쇼에서 인간 중심의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보여준 미래의 생활
모습
을 들여다보자.도시의 여행자 미래의 비즈니스맨이 등장. 서로 악수를 하는 동안 각자 들고 있던 PDA에 있는 전자명함 정보가 손을 통해 전달돼 상대방의 PDA에 자동으로 기록된다.인간이 지니고 다니는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2
듯하다.만약 베르트랑이 깜깜한 밤에 사진을 찍었다면 지상의
모습
은 어땠을까? 다양한
모습
과 다채로운 색상보다는 반딧불같이 반짝이는 불빛의 밀도가 각 도시의 특색을 전해줄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단조롭고 특별한 게 없을 것 같지만 한번쯤 높은 타워에서 야경을 본 사람이라면 그 아름다운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12
시작된 고층 건축물은 근대 도시를 낳았으며 20세기의 건축을 과거와는 전혀 다른
모습
으로 바꿨다. 1854년 ‘엘리베이터’가 처음으로 개발되고 1858년 뉴욕시 하우워드 백화점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면서 고층 빌딩을 일컫는 마천루가 나타나기 시작했다.1909년 세계 최초의 초고층 건물로 불리는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12
별들이 태어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한다. 핼러윈 데이에 어울릴 만한 우주 귀신의
모습
에 세대를 거듭하는 별 탄생의 비밀이 숨어 있었다니 놀랍지 않은가 ... ...
잠자는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대한 정보를 밝혀줄 것으로 기대된다.2발로 걸었던 이 작은 공룡은 오늘날 새들이 잠자는
모습
처럼 앞발 아래에 머리를 파묻고 있다. 이 때문에 잠자는 용을 뜻하는 ‘메이 롱’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크기가 53cm 정도다. 수 박사는 메이 롱의 형태로 보아 조류의 조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또 수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3년 전 신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카메라기자 앞에서 하얀 이를 드러내며 웃는 소년의
모습
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치료를 위해서는 약물투여가 불가피하지만, 부작용이나 불편이 만만치 않은 것은 현재 쓰이는 약물전달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의 한계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부작용과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