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정도다. 한강 상류부터 하류까지 실제 생태계를 맛볼 수 있고, 진짜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
부터 살아 있는 개구리와 곤충을 도심 한가운데서 본다.이밖에도 이화여대 자연사박물관과 희귀 곤충을 전시한 은암자연과학박물관, 분당자연사박물관 등이 있다.경북 영덕군에 있는 경보화석박물관은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일찍 돌아가시는 바람에 문 박사는 점점 더 어두운 성격으로 변해갔다. 그런 자신의
모습
을 깨닫고 그는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 밝아지려고 무던히도 애를 썼다. 성격마저도 스스로의 의지로 바꾼 것이다. 지금도 어린 시절 친구들을 만나면 “성격 정말 많이 변했다”는 얘길 듣곤 한다고.문 박사는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오색찬란한
모습
이 여간 아름다운 게 아니다. 우주에도 이런 거품이 있다면 어떤
모습
일까.지난 10월 6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다채로운 색깔의 천체 사진을 공개했다. NASA의 거대 우주망원경 3대가 각각 찍은 영상을 하나로 합성한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 찬드라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11
세 대상을 함께 볼 수 있다. 5일에 비해 두 행성 간 거리는 조금 더 멀지만, 달과 어우러진
모습
이 환상적이다.행성의 만남은 12월에도 한차례 발생한다. 다만 그 대상이 목성이 아니라 다소 어두운 화성으로 바뀐다. 바로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접근하는 것이다. 12월 10일에는 두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한 구절처럼.“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미래는 밝다. 다만 현재의 상상력으로는 그
모습
을 그려볼 수 없을 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3. 첨단 나노기술로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11
연주에는 멜로디가 없다.만일 세상 사람의 손가락이 모두 없어진다면 연주회는 이런
모습
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바이올린 목을 짚어가며 연주할 손가락이 사라진 세상. 아마도 O-Square의 공연처럼 기존의 멜로디 악기는 거의 다 사라지고 타악기만이 연주될 것이다. 타악기는 나름대로의 발전을 이뤄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11
해주고 여성호르몬을 주사해 그가 여성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했다. 그는 겉
모습
은 여성이었지만 마음속에는 항상 남성의식이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결국 그는 성인이 된 후 다시 성전환수술을 해 남성으로 살았다. 그는 태아시기에 남성호르몬에 의해 이미 남성의 뇌를 가졌기 때문에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걷고, 뛰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이 가능하다. 1백80㎝의 훤칠한 키로 성큼성큼 걷는
모습
이 인간과 닮았다. 국내에서도 얼마 전 KAIST가 두발 로봇을 개발해 화제가 됐었다.(과학동아 10월호 참조)천막 안의 전시물들이 움직임의 미래를 보여줬다면 천막 밖에는 움직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11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이 교수는 올바른 생태학은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인간의
모습
까지 모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만든 구조물과 사람의 행위까지 포함한 연구라야 제대로 된 생태학이라는 생각이다.또 예전에는 생물학과 생태학이 잘 구분되지 않던 때도 있었지만,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11
올라가 그 아래를 본다면 이런
모습
이 아닐까? 케네스 에와드는 DNA 분자의 X선 결정
모습
을 통해 이중나선의 독특한 형상을 그렸다. 이 이미지는 분자의 중심을 교차하는 화학적 결합을 넣지 않았다. 그래서 이중나선의 구조적 특성이 좀더 쉽게 드러나 있다.정보성그래픽부문 1등 에트나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