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가능성을 예견한 천재였다. 대부분의 미술가들은 “그가 미디어가 문화현상의 도구로
발전
할 것을 예견했던 점이 놀랍다”고 입을 모은다. 원근법과 사진술 발견에 버금비디오아트는 20세기 후반 설치미술을 통해 예술의 지평을 좀 더 넓히고 21세기 멀티미디어 예술의 토양을 마련했다. ‘예술과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導水鐵管)의 거리가 너무 짧아 큰 낙차를 얻을 수 없을 때 수로를 만들어 댐의 물을
발전
소로 유도하고 그 사이의 낙차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말한다이 때 댐의 상류에 비축되는 물은 그대로 조절지(調節池) · 저수지의 역할을 하게 된다직장과 자궁사이에 있는 벽측복막(壁側腹膜)의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위의 4가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는 5년 안에 500GB~ 1TB 이상의 고용량 광정보저장기기로
발전
해 수백억 달러의 정보저장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천체망원경으로 하늘을 쳐다보기 시작한지 약 반세기가 흐른 시점으로 자연과학의
발전
에 눈을 뜨기 시작하던 무렵이었다. 천체망원경으로 행성을 본 왕들은 자연의 신비에 감탄을 발하곤 했다. 그런 이유로 천문대와 과학아카데미 설립이 붐을 이뤘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영국의 찰스 2세가 ... ...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것이라는 생각이다.GEOSS의 필요성은 2002년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발전
을 위한 세계정상회의’(WSSD)에서 처음 제기됐다. 이듬해 6월 프랑스에서 열린 G8 정상회의에서 구체화됐고, 같은 해 7월 미국에서 제 1차 지구관측정상회의(EOS)와 제 1차 지구관측그룹회의(GEO)가 열리면서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백혈병 환자에 대한 골수이식으로
발전
했다. 배아줄기세포는 1998년 미국 제임스 톰슨 박사가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는데 성공하면서 연구가 활발해졌다. 배아줄기세포는 10년, 성체줄기세포는 50년도 안된 짧은 역사인 셈이다.외국에서는 줄기세포를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다1976년경부터 업무용 목적으로 연구·시제(試製)되기 시작하여 각종 업무용기로
발전
·실용화되고 86년에는 일반용도 나왔다일반용 디지틀 오디오 테이프리코더에는 고정 헤드 방식과 회전 헤드 방식이 있는데, 각각규격이 정해져 있다 정보를 양자택일하는 2진 신호 또는 3진 신호 등의 이산적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있다. 이미 기본적인 모델링은 끝났다.“ 로피 2.0은 1.3에 비해 기술적으로 한 단계
발전
한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1.3은 아직 물 속에서 수평으로 헤엄치는 정도지만 2.0은 기계적으로 더욱 복잡한 모델을 이용해 진짜 물고기처럼 위아래로 헤엄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오지 않으리라는 법도 없다. 정보생산의 패러다임 바꿔 그렇다면 웹은 어떤 방향으로
발전
하고 있을까. 일반인에게는 아직 생소하지만 지난 해 인터넷 업계를 달군 키워드는 단연 ‘웹2.0’이었다. 웹2.0이란 과거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근 인터넷 서비스의 흐름을 일컫는 말이다. 2.0은 ... ...
우리도 과학의 오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공로!1904년 파블로프의 개 파블로프가 1904년노벨상을 받고,이후‘조건 반사 이론’을
발전
시킬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개들 덕분이었어. 파블로프 박사는 우리에게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렸어. 밥을 본 개들은 군침을 흘렸겠지. 그런데 어느 날 박사님은 종소리만 울리고 밥을 안주는 거야. 그랬더니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