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불치병에 걸린 사람을 냉동인간으로 만들어 미래에 의학이
발전
돼 치료가 가능하게 될 때 깨어나도록 한다는 것이죠. 이미 미국의 알코어라는 회사는 100여명의 사람들을 냉동보존해 주고 있기도 해요. 하지만 아직까지 냉동인간을 다시 깨우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요. ... ...
철새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어떤 병이든 무시하거나 단순하게 생각하면 큰 병으로
발전
하고 말죠. 조류독감도 마찬가지예요. 우리 어린이 여러분들은 조류독감에 대해서 잘 알게 됐으니 예방할 수 있겠죠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훗날 프로토케라톱스가 진화하여 트리케라톱스와 같이 멋진 뿔을 가진 다양한 각룡류로
발전
한 것이라고 합니다.이제 조금 더 올라와 볼까요? 공주의 계룡산 입구에는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이 있답니다. 이 곳에서는 미국 와이오밍주 모리슨 지층에서 발굴하여 원형이 85% 이상 보존된 길이 25m, 높이 1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예로부터‘백의민족’이라 하여 흰색을 사랑하였지만 또한 다양한 천연염색 기법을
발전
시켜 왔다. 우리 조상들이 가장 고귀한 색으로 여긴 보라색은 자초 혹은 지치(산이나 들의 풀밭에 절로 나는데, 뿌리는 자줏빛이고 굵으며 높이는 30~35cm이다)라고 불리는 식물로부터 얻었다. 고려시대의 ... ...
Ecosystem, Typhoo, Plant, Bacteria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인간이 좌지우지할 수 없다는 것을 느꼈나요? 과학의
발전
으로 인간은 예전보다 편한 생활을 누리고 있지만 인간의 욕심 때문에 생태계의 다른 생물들은 고통받고 있답니다. 멸종된 생물도 수두룩하지요. 인간이 편하기 위해서 자연에 준 고통은 부메랑처럼 다시 인간에게 돌아온다는 사실을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숫자 1의 발견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1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1을 통해 수학을
발전
시켜 나갔다. 1은 점을 나타내며 ‘현재’와 ‘지금’을 의미한다. 점은 차원이 없다. 그러나 점이 모여 선을 만들면 1차원이 되고 또 2차원, 3차원을 이루듯 점은 모든 시간과 공간을 만드는 시작이 된다. 기독교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보내지는 것이지요. 달 기지를 세울 적당한 장소가 정해지면 그곳에 전초 기지를 세우고
발전
소와 통신 기지를 구축하는 등 본격적으로 달 기지를 건설하게 된다고 하니 달에 사람이 살게 되는 일도 곧 가능해질 거예요. 달에 사람이 살 수 있다면 달나라 옥토끼 떡 공장을 만드는 일도 물론 ... ...
과학으로 민족의 염원을 보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되어 팔만대장경으로 부르고 있지요. 팔만대장경은 우리나라의 인쇄기술과 출판기술을
발전
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목각판에 열과 습기로부터 나무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옻칠을 한 세계에서 유일한 대장경이기도 합니다.이렇듯 팔만대장경 자체도 훌륭한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팔았다. 13세기 경 나침반 사용법까지 아랍에 전해지면서 전세계의 무역과 상업은 큰
발전
을 이루게 되었다.바늘 없는 나침반옛날에는 배를 나무로 만들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쇠로 만든 배에서도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을까? 거대한 쇳덩어리인 배는 자기력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의 나침반은 ... ...
'내 사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그냥 구경만 하고 있어도 신난다. 각각의 로봇 자체도 재미있지만 우주탐험, 로봇의
발전
역사, 가전제품 로봇 등 주제별로 묶어 놓은 디오라마는 정말 눈을 즐겁게 해 준다. 로봇박물관에서 특히 눈길이 가는 곳은 자녀의 손을 잡고 온 부모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한국과 일본 로봇관. 그 옛날 흑백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