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심장판막과 똑같은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배양한 세포를 붙였다. 2주 후 모형에 붙은 세포들은 영양이 풍부한 배양실에서 증식을 거듭하면서 모형을 둘러싸기 시작해 완전히 피막을 형성했다. 결국 모형 자체는 생분해돼 없어지고 모형과 똑같은 피막조직만 남게 된 것이다. 그러나 실험은 여기서 ...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만들어지는지를 추적하고 제조해 그 구조와 기능을 밝혀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세포의 여러 소기관을 인공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나아가서 인체의 모든 생체부품이 실험실에서 만들어져 상품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말이다.인간의 경우 현재까지 밝혀진 10여만개의 단백질 가운데 기능이 제대로 ...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과학동아 l1999년 12호
- 다양한 종류의 DNA칩이 유수한 회사들에 의해 속속 개발되고 있다.어피메트릭사는 암세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p53과 에이즈 유전자의 DNA를 부착한 주로 진단용의 DNA칩과 해석장치를 판매하고 있다. 인사이트사는 이미 알려진 1만 종류의 사람 유전자를 이용해 DNA칩을 만들었으며, 이 칩으로 ...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과학동아 l1999년 12호
- 한다. 포자는 ‘다른 생식세포와 접합 없이 새로운 개체로 발생할 수 있는 생식세포’로 정의된다. 포자는 조류, 선류, 태류, 양치류와 같이 씨를 만들지 않는 식물에서 두드러질 뿐 종자식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니 민들레의 씨를 홀씨라고 부르는 것은 커다란 오류이다. 물론 포자로 ... ...
- 공룡들의 IQ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중 가장 날카로운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색깔을 구분할 수 있다. 매는 우리 인간보다 시력세포가 8배나 많고 타조의 눈은 테니스공 만하다. 조류의 눈동자 크기는 상대적으로 굉장히 커서 어떤 경우 뇌 크기보다 더 큰 영역을 차지하기도 한다.공룡의 감각기관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이들이 ...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과학동아 l1999년 11호
- cGMP)을 증가시키는 물질에 관심을 모으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cGMP는 어떤 세포에서 작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콩팥에서는 근육을 이완시켜 소변이 배출되는 일을 돕는다. 또 혈액에서는 응고를 일으키는 주범인 혈소판의 기능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혈액이 혈관 내에서 ...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미사일처럼 암세포를 찾아가 폭파하는 듯하다.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라 할지라도 정상세포에 쪼이면 좋을 리는 없다. 그래서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들은 주로 반감기가 짧고, 몸밖으로 빨리 배출되는 것을 사용한다. 간질환에 사용하는 테크네튬(Tc)-99는 반감기가 6시간이고, 종창이나 염증에 ...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이때 암세포의 DNA는 더이상 풀어지지 않아 DNA의 복제가 일어날 수 없다. 그 결과 암세포의 분열이 진행될 수 없다.백금을 이용한 약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고 하는데, 이들과의 차이는?76년에 시스플라틴, 86년에 카보플라틴이 개발됐다. 그런데 시스플라틴은 항암효과는 탁월하지만 독성이 너무 강해 ...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과학동아 l1999년 11호
- 21세기에 확실한 치료약이 반드시 개발되리라고 믿고 있다.가장 핵심적인 치료책은 신경세포 간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도와주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일이다. 보통 아세틸콜린은 몸 안에서 합성된 후 분해효소에 의해 신속하게 파괴돼 기능이 10만배 정도 약해진 ...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과학동아 l1999년 11호
- 하고 구의 부피(4πr³/3)를 원통의 부피와 같게 놓으면 반지름은 1μm이다. DNA 구의 지름은 세포 지름의 10분의 1정도인데, 그 이유는 DNA전부가 하나의 구로 뭉쳐져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염기성 단백질들을 감싸고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