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과학동아 l1999년 11호
- 관심이 된 적이 있었다. 돌리의 텔로미어 길이가 현저하게 짧아서 1년생 돌리가 세포핵을 물려받은 어미인 6년생 양과 같이 늙어있을 수 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당시 돌리의 노화를 논의했던 학자들이 근거한 것은 바로 생쥐를 대상으로 한 이 교수의 결정적인 실험이었다.우리가 세계 정상결국 ...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앤지오스태틴과 엔도스태틴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혈관의 형성을 억제해 암세포의 크기를 뚜렷이 줄인다는 점이 입증됐다. 그러나 이들은 대량생산이 쉽지 않고 실험이 잘 재현되지 않아 현재 임상시험이 보류되고 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임상시험에 돌입할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하는데 ...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과학동아 l1999년 11호
- 21세기에 확실한 치료약이 반드시 개발되리라고 믿고 있다.가장 핵심적인 치료책은 신경세포 간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도와주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일이다. 보통 아세틸콜린은 몸 안에서 합성된 후 분해효소에 의해 신속하게 파괴돼 기능이 10만배 정도 약해진 ...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과학동아 l1999년 11호
- 하고 구의 부피(4πr³/3)를 원통의 부피와 같게 놓으면 반지름은 1μm이다. DNA 구의 지름은 세포 지름의 10분의 1정도인데, 그 이유는 DNA전부가 하나의 구로 뭉쳐져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염기성 단백질들을 감싸고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자신을 돌보러 오는 주인의 경쾌한 발소리에 성장이 촉진됐던 셈이다.음파가 직접적으로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생리적인 과정을 거쳐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인지 아직은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어떻든 음악이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 ...
-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이때 암세포의 DNA는 더이상 풀어지지 않아 DNA의 복제가 일어날 수 없다. 그 결과 암세포의 분열이 진행될 수 없다.백금을 이용한 약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고 하는데, 이들과의 차이는?76년에 시스플라틴, 86년에 카보플라틴이 개발됐다. 그런데 시스플라틴은 항암효과는 탁월하지만 독성이 너무 강해 ...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받았다. 히칭스와 그녀는 세포들이 서로 다른 핵산대사과정을 가진다는 사실을 밝혀, 암세포 내에서 핵산합성을 억제하는 약을 개발했다. 같은 원리로 백혈병치료제와 에이즈치료제를 개발하기도 했다. 평생 독신으로 지냈던 엘리언과 그의 스승 히칭스 박사는 1974년 우리나라 중앙대에 와서 ...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과학동아 l1999년 10호
- 라듐에서 빠져나온 알파선 때문이었다. 오늘날 의학계에서는 이 실험을 응용해 암세포를 퇴치하는데 알파선을 활용하고 있다.중성자선을 제외한 보통의 방사선, 즉 X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은 어떤 물질에 집중적으로 쪼여도 그 물질이 방사성물질이 되는 것은 아니다(중성자는 방사선을 ... ...
- 복제양 돌리 어미와 똑같지 않아과학동아 l1999년 10호
- 돌리는 어미양의 체세포와 핵을 제거한 난자를 융합시키는 방법으로 복제됐다. 체세포는 난자보다 훨씬 적은 양의 mtDNA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이 섞이면 mtDNA는 대부분 난자로부터 얻어질 것으로 예상했던 것이다. 실제로 돌리의 mtDNA를 조사한 결과 어미양의 흔적은 전혀 없었다. 복제한 9마리의 ...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과학동아 l1999년 10호
- GnRH를 분비하는 신경세포는 뇌의 시상하부와 그 좌우의 후엽에서 발견되는데, 이 신경세포들은 본래 태아기에 후각상피, 즉 코가 될 부분에 위치하던 것이 뇌쪽으로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생식과 관련된 GnRH의 경우 후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개연성이 있다. 칼만신드롬(Kallmann syndrome)을 보이는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