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2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그래핀 나노리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평면 형태의 그래핀
표면
을 폭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도체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제작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금 ... ...
발암물질에만 반응하는 초고감도 센서 개발
2015.03.23
달라붙는 단백질 조각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오파지의
표면
에 나타나는 단백질을 1000만 종 이상으로 다양하게 만든 뒤 벤젠의 화학구조를 모방해서 만든 기판에 뿌려 준 것이다. 그 결과 벤젠에만 달라붙는 단백질 조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 단백질 조각은 알코올이나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전보다 더 깔끔하게 제품을 뽑아낼 수 있다. 이전에는 한층한층 쌓아올렸기 때문에
표면
이 거칠고 재료를 쌓아올린 티가 났다. 물체를 액체 속에서 뽑아내는 비결은 빛과 산소다. 재료가 굳어야 할 부분에는 자외선 빛을 쪼여주고 굳지 말아야 할 부분에는 산소를 쏴 줘서 원하는 모양을 갖추게 해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선에 낮은 압력에서 사염화규소(SiH4) 가스를 주입하면
표면
에너지가 감소하면서 나노선의 축 방향으로 주기적인 껍질 구조가 형성되는 현상을 처음 발견해 ‘플라토-레일리 결정성장’이라고 이름 붙였다. 나노선은 두께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했다.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버린다. 평평한 수분 막이 되기 때문에 김도 서리지 않는 것이다. 또 나노 돌기 덕분에
표면
이 울퉁불퉁해져 일반 유리보다 반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 뒷면도 선명하게 보였다. 문 센터장은 “휘어진 유리에도 나노 돌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안경이나 자동차 백미러, 후방 카메라 등에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형상과 25cm 정도의 신발 밑창 등을 인쇄했다. 층층이 쌓는 과정을 없애자 인쇄한 사물의
표면
이 더욱 매끄러워졌고, 형태도 한층 정교해졌다. 양동열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주로 화학자와 의생물공학자들이 이 3D프린터 개발에 참여한 점도 흥미롭다”며 “획기적인 기술 개발에는 다학제간 ... ...
목성의 달 ‘가니메데’ 밑에 지구보다 더 큰 바다 숨었다
2015.03.16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가니메데
표면
에 있는 얼음층 아래에 지구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12일(현지 시간) 밝혔다. NASA는 우주공간에 떠 있는 천체관측용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가니메데를 촬영한 ... ...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바짝 엎드려 다니도록 만들어야 하나요? A . 아니요. 오히려 반대로 로버의 바닥이 달
표면
과 멀리 떨어지도록 만들었어요. 돌처럼 크고 작은 장애물을 만나도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장애물을 만났을 때도 로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거든요. 이 높이를 ‘지상고’라고 하는데, ... ...
토성 위성에서 온천 발견, 대서양 심해서 발견된 ‘잃어버린 도시’와 비슷?
동아닷컴
l
2015.03.13
보여주는 것이다. 중력을 이용한 측정에 따르면 엔켈라두스의 남극에 있는 바다는 얼음
표면
으로부터 30∼40km 내려간 곳에 있으며, 바다의 깊이는 약 10km다. 이를 토대로 과학자들은 엔켈라두스에서 분출되는 얼음 입자들이 토성 주변에 ‘E 고리’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카시니 우주탐사에서는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지 꼬박 1년. 위투는 달의 북서쪽 ‘비의 바다’에 착륙한 뒤 114m를 이동하면서 달
표면
을 꼼꼼히 조사했다.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우한(武漢) 소재 중국지질대 행성과학연구소 룽샤오 교수팀은 위투가 보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지역의 지질 구조가 예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