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호주의 동북부 바다 수천km에 걸쳐 펼쳐져 있는 남태평양 섬들은 휴양지로 유명하지만 섬
주변
의 바다 밑은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자리하고 있어 지각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해저지진과 화산 폭발이 자주 일어난다.이때 생긴 해저지각의 틈 사이로 바닷물이 들어가면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코팅해 유기 메모리 소자를 제작했다. 이 메모리는 일반 메모리와 달리 비휘발성이었다.
주변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메모리 소자는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연결해 만든다. 메모리 소자는 걸어주는 전압에 따라 커패시터에 전하가 쌓이고 방전되는 양을 기록한다. 커패시터는 전하가 방전되는 속도가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때 위치가 바뀐다는 것보다는 모양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더 강조하는 활동이다. 숫자 3
주변
에 거울을 대고 숫자 3을 비췄을 때 거울에 보이는 그림이 왼쪽과 같으려면 어느 선에다 대고 거울을 비춰야 하느냐는 질문이다. 하지만 ‘왼쪽 거울’, ‘어느 쪽에서’라는 표현 때문에 자칫 무슨 뜻인지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1m인 안전띠를 착용했을 때 몸이 받는 압력은 다음과 같다. 이 크기의 압력이면 안전띠
주변
의 피부 혈관을 터뜨려 멍이 들 수 있지만, 비록 멍이 들더라도 더 큰 부상을 막을 수 있기에 안전띠는 생명띠라는 별명을 얻게 됐다.물론 안전띠의 폭을 넓게 만들면 더욱 안전할 수 있다. 경주용 차에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예방할 수 있다.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의 높이 지난 8월 이순신 장군 동상
주변
으로 서울 광화문 광장이 개장했다. 처음에 광장은 차도보다 조금 높게 만들어졌을 뿐 별다른 안전시설이 없었다. 개장 다음날 택시가 광장 안으로 돌진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서울시는 높이 25cm짜리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장켄봉을 순우리말인 ‘가위바위보’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들여왔다. 그런데 최근
주변
에서 가위바위보를 ‘가위가위보’라고 외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가위바위보보다 가위가위보가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인데 분명히 잘못된 표현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북한에선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 비결로 꼽았다.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서해안 갯벌은 마그네슘 매장지인 황해
주변
중국 해안과 가깝고, 육지로부터 엄청난 양의 식물성 유기물이 유입되는 지역이다.이런 갯벌 속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번식하고 있는데, 염도가 높아지면 소금 속에 미네랄을 뱉어 놓고 죽는다. “결정지에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신 세계 7대 자연경관의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 산호초 섬
주변
의 바다 색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바다와 많이 다르다.한국의 바다는 파랑이나 군청 같이 짙은 색으로 보이지만 산호초 섬을 둘러싼 바다는 옅은 파랑부터 하늘색, 옥색, 심지어 초록색으로 보이는 곳도 있다. 왜 ... ...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불리고는 했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튜 왈더 교수팀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가
주변
상황에 따라 바뀌는 현상에 주목했다. 즉 영양이 풍부해 세포증식에 유리한 조건에서는 세포벽도 유연하고 환경이 열악할 때는 세포벽이 단단해지면서 생존을 유지하는 전략으로 바뀐다. 연구자들은 D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헬라(Hela)를 형광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심장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의 핵이며 그
주변
을 둘러싼 혈관처럼 보이는 부분은 세포 골격을 구성하는 미세소관(microtubule)이다. 배율 600배.옥수수의 교훈바이오과학상·고등부 | 이승경·대전과학고옥수수처럼 보이지만 작은명주실이끼의 표면을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