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그녀의 눈물은 아름다웠다. 피겨 여왕 김연아는 13개월 만에 출전한 '2011 세계피겨선수권대회’ 에서 은메달을 땄다. 1위를 차지한 안도 미키와의 점수차이는 고작 1.29점. 점프 하나만 제대로 했어도충분히 역전할 수 있는 점수였다. 피겨스케이팅의 점수는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 피겨의 점수체계를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새 신을 신고 뛰어보자, 팔짝. 머리가 하늘까지 닿겠네.”발 크기에 맞는 신을 고르고, 발의 특성에 맞게 끈을 매면 발걸음이 가볍다. 운동 종목에 적당한 운동화까지 신으면 운동 효과는 두 배! 내 발에 안성맞춤인 신발을 찾아보자.내 발을 알고 신발을 고르자“발 크기가 얼마인가요?” 신발 가 ... ...
-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도미노 게임으로 하나 된 우리“쫘르륵~.” 3만 개나 되는 도미노 칩이 물결치듯 넘어간다. 자기가 세운 칩이 무사히 다 넘어가자 탄성을 지르다가도, 다음 팀으로 이어진 칩에 눈길이 간다. 여기저기 환호가 들리는가 싶더니 이내 모든 학생이 서로 얼싸안으며 감격한다.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의 ... ...
- Intro. 서바이벌 오디션의 과학 - 경쟁하는 당신이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한 사람이 무대 위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다. 노래가 끝나고 방청객들이 박수를 보내는 모습은 여느 음악 프로그램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진짜 쇼는 이제부터다. 매의 눈으로 무대를 지켜본 심사위원들이 점수를 매긴다. “좋은 무대 잘 봤다”라는, 겉치레 따위는 없다. 오히려 “당신의 무대는 전 ...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학창시절 후회되는 일이 하나 있다. ‘잠을 자면서 공부할 내용을 들으면 저절로 외워진다’는 속설을 믿고 따라했던 것이다. 이제 와 알게 됐지만 이 방법, 전혀 효과가 없다. 사람은 잠을 자는 동안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잠을 잘 때 들어온 외부자극은 ‘시상’이라는 뇌의 관문을 통과 ...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우주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 발견이 임박했다?지난 4, 5월 두 달은 입자물리학 역사에서 손에 꼽힐 긴박한 순간이었다. 4월 21일, 인류가 발견하지 못한 유일한 기본 입자이자, 다른 입자에 질량을 부여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연상시키는 실험 데 ... ...
- 통합과학-지진, 지진파의 통합적 접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최근 일본대지진을 비롯해 지구촌의 잇따른 지진 발생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올해 논구술에서도 지진과 관련한 주제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에서는 지진과 지진파에 대한 논제들을 다각도로 분석해보자.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대중이 만드는 스타, 옥에 티는 있다 슈퍼스타K2와 위탄은 방송 초반, 국내외에서 치러진 예선전을 편집해 보여줄 때부터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 덕분에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오디션 프로그램의 백미는 매주 최종 결선 진출자가 펼치는 생방송이다.최종 결선의 점수는 슈퍼스타K2의 경우 ‘사 ...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안녕? 나는 6이라고 해~. 6월은 6이 2번 만나는 6월 6일이 있어서 제일 좋아. 나에 대해 잘 아니? 어렸을 때부터 6이란 수를 알고 있으니 당연하다고? 글쎄, 그 대답은 이번 여행을 다녀온 뒤에 듣는 걸로 하지. 갑자기 무슨 여행이냐고? 바로 나, 완전수 6에 대해 제대로 아는 여행이야. 자, 그럼 떠나볼까 ... ...
- 12진법에서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만일 사람의 손가락이 모두 12개였다면, 아마 우리는 10진법 대신 12진법을 사용했을 것입니다. 12진법을 사용했다면 세상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5백 원 동전, 5천 원권 지폐 등이 없어지고 1백 원, 4백 원, 1천 원, 4천 원 등으로 화폐를 구성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각종 숫자 키패드에서 *나 # 등의 키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