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20개 단어를 최대한 많이 외우게 하고 1분 후 몇 개의 단어를 외웠는지 파악했다.
이후
15명에게는 에너지드링크(250ml)를, 15명에게는 비타민음료(250ml)를 마시게 했다(물론 피실험자는 자신이 무엇을 마셨는지 모르게 한 채). 30분 후 앞선 단어 외우기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cAMP)이었다.응급실에서 시작된 의문의 GPCR 구조사실 구아닌 수용체의 존재는 1960년
이후
부터 예견됐으며, 인체의 생존에 꼭 필요한 센서 역할을 하리라는 사실까지도 막연하나마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지 메커니즘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예를 ... ...
첫 경험은 늦는 게 좋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상대가 아주 만족스러울 때까지 친밀한 관계를 맺지 않는 성격인 사람은 첫 경험도 늦고
이후
의 연애도 만족도가 높다는 게 하나다. 또 다른 설명은 정신적·감정적으로 성숙한 상태에서 첫 경험을 하는 게 연애와 관련된 기술을 더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하든 교수는 “청소년기의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소실점까지의 거리만큼 작품과 떨어져 감상하면 작품의 입체감을 더욱 살릴 수 있다.
이후
유럽의 화가들은 치밀한 계산을 통해 감상자의 실제 눈높이와 소실점을 일치시켜 원근감의 효과를 강조하기 시작했다.한편 이탈리아 화가인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원근법의 매력에 빠져, 이에 관련된 ... ...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소리냐 하겠지만, 일반상대론은 이미 수많은 실험을 통해 증명됐다.아인슈타인은 1915년
이후
여생을 우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썼다. 시공간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말은 시공간 자체인 우주도 변할 수 있다는 말이다. 만일 우주의 한계가 있다면, 일반상대론 중력법칙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우주는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경우도 거의 없었습니다. 정착민을 노린 병원균의 ‘영리한’ 진화 반대로 농경
이후
질병은 늘어났습니다. 충치와 풍치를 예로 들어볼까요. 농경사회에서는 주식인 곡물에 물을 부은 뒤 익혀서 부드럽게 만들어 먹습니다. 우리가 밥을 짓는 모습을 떠올리면 되죠. 그런데 이런 식생활은 단단한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틈을 통해서 그림들을 빠르게 연속으로 볼 수 있어요. 좁은 틈을 통해 보는 게 불편해서
이후
에는 거울을 이용해 좀 더 편하게 연속 그림을 볼 수 있는 프락시노스코프도 만들어졌죠.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연결된 그림을 그려서 빠르게 보여주는 것에서 발전해 현재에 이르렀어요. 지금은 컴퓨터 ... ...
수학으로 팡팡! 애니~팡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위한 도구로 러시아의 전통 퍼즐인 펜토미노를 변형한 게임인 ‘테트리스’를 만들었다.
이후
미국에서 ‘더 테트리스 컴퍼니’란 회사를 설립했으며, 게임디자이너로는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입사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테트리스의 저작권은 지금도 파지트노브가 가지고 있다 ... ...
올림픽 개최국은 메달 수가 2배 높아진다고?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영국이 65개의 메달을 따낸 것과 1.5개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그러나 올림픽을 개최한
이후
에는 성적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홈 경기 이점이 끝난 직후에는 올림픽 메달 획득 가능성이 평균 1.46배에 머무른다고 계산했다. 따라서 2016년 브라질 리우올림픽에서 영국이 획득할 총 ... ...
수학쌤의 이중생활 영화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잘 보았고, 이때 처음 ‘나도 수학을 잘하는구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수학교사가 된
이후
에는 영화감독이라는 오래된 꿈을 이루기 위해서 새로운 길에 도전했다. 하지만 영화를 시작한다고 했을 때 영화인 모두가 ‘아~!’(저 사람 오래 하진 않겠군!)’라는 반응을 보였다.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