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라이벌 보며 채찍질, 멘토에게선 당근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과학을 하고 있더라”며 “과학고에 가려고 과학을 공부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후 자연스럽게 과학고를 꿈꾸면서 생물올림피아드를 준비했다. “올림피아드를 준비할 때 처음으로 공부가 재미있다고 느꼈어요. 생물학자를 꿈꾸게 됐죠. 그런데 요즘 후배들은 재미가 없는데도 남들이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이 안에 있었다. 태양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 속도가 1초를 책임졌다. 1967년 이후 1초의 책임자는 세슘 원자로 바뀌었다. 국제도량형총회는 1초를 ‘바닥상태의 세슘 133 원자에서 나오는 복사선이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했다. 물질의 고유진동수는 지구의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수상자이자 나사 고다드 우주센터 선임 천체 물리학자 존 크롬웰 매더 교수는 2013년 이후 발사될 ‘제임스웹우주망원경’과 수학의 관련성에 대해 강연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차세대 망원경으로, 우주 공간의 라그랑주점에서 기존에는 관측하지 못했던 모습까지 관측한다.라그랑주점은 18세기 ...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가지만, 몇 접시 먹지 못하고 안타깝게 뷔페를 나선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느 정도 먹은 이후에는 한 접시를 더 먹을수록 만족감이 떨어져 더 이상 먹을 수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뷔페에서 어떻게 먹어야 가장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까? ‘한계효용 균등의 법칙’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각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작은 수는 자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큰 수와 마찬가지로 작은 수도 19세기 이후부터 진 이하의 관계도가 변했다. 현재 진은 10-9, 애는 10-10, …, 육덕은 10-19, 허와 공을 합쳐 허공(10-20), 청과 정을 합쳐 청정(10-21)이라고 나타낸다.탄지부터 정까지는 역시나 불교에서 유래된 말이다. 탄지는 ... ...
- 구체적인 사건을 쓰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나눠서 정해놓고 뽑지는 않습니다. 일단 과거에 지원했을 법한 학생들이 지원하면 그 이후는 학교에서 알아서 평가합니다. 작년처럼 내신성적이나 서류에서 우수한 학생들은 다 선발될 겁니다. 자연계열은 수시모집에서 일반전형 외에 다른 전형이 따로 없습니다. 이화글로벌리더 전형 같은 ...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비해 실수가 적은 우리나라 선수들이 우승하기에도 좋은 점수 제도였다.그런데 2010년 4월 이후 양궁 경기에 새로운 점수 체계인 세트제가 도입됐다. 선수들의 누적 점수를 인정하지 않는다. 8강부터는 모두 다섯 세트로 진행 되고, 한 세트 당 3발이 주어진다. 한 세트가 끝나면 승자에겐 2점, ... ...
- 미래 수명 예측하는 ‘생존곡선 수학모델’ 개발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생존곡선 수학모델을 통해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수명은 계속 늘어나고 점차 고령화되고 있음을 입증했다.원병욱 교수는 “인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생존곡선의 분석은 의료나 복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자음의 기호를 열로 만든 뒤, 이 연쇄에서 자음과 모음이 등장할 확률을 계산했다. 이는 이후 음성인식이나, 문장인식 등과 같은 패턴 인식에 있어 기초가 됐다.내일 수업 시간에 잠 잘 확률은?마르코프 연쇄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앞서 말했듯이 오늘 어떤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전날에 일어난 ... ...
-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같은 알을 낳는 조류는 두머리증이 적어. 파충류와 달리 배아가 민감한 낭배형성기 이후에 알을 낳고, 낳은 후에도 몸에 품어서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때문이야. 하지만 오리는 자궁 속에서 알이 회전하기 좋은 구조라 개구리처럼 두머리증이 종종 생겨. 전체의 2% 정도라니까 꽤 높지.”산해경을 쓴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