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10
병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추출해 약국에서 직접 제조하곤 했다. 쉘레로서는 화학
분야
에 관한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1770년에서 1773년까지의 4년은 쉘레의 연구에서 황금기를 이룬 시기였다. 한 광물학자로부터 자신에게 부족한 이론 교육을 받은 한편 동시대 어떤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10
그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은하의 진화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어 천문학
분야
의 큰 구멍으로 남아 있는 상태다. 은하 중앙에 있는 거대한 블랙홀과 같은 수수께끼의 천체들을 규명하고 은하의 진화 문제를 해결하는 날도 그리 멀지 않다.선진국에서는 현재 X선보다 더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10
그에 따라 여러
분야
에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친자(親子) 감별 등 법률적인
분야
에서 혈액형이 쓰이기도 했지만, 특히 중요한 것은 안전한 수혈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서양에서는 17세기부터 수혈을 시도했으며 19세기 중엽 이래 적지 않은 효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혈액형이 ... ...
생활속의 반도체 마이컴
과학동아
l
199810
시장이라고 한다. 마이컴은 마이크로프로세서처럼 설계기술이 복잡하지 않고 응용
분야
가 넓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마이컴 개발사는 그리 길지 않다. 1994년 금성일렉트론이 가전용 4비트 마이컴을 개발한 것이 거의 효시. 이듬해 삼성전자는 컬러TV에 사용하는 8비트급 마이컴을 개발했다.현재 ... ...
장애인을 돕는 로봇
과학동아
l
199809
떨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로봇 손이 힘과 중력을 적절히 안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분야
에 대한 KAIST 연구수준은 세계 정상급이라고 한다. 세번째 연구는 앞을 못 보는 장애인을 위한 안내견 로봇이다. 1997년 개발에 착수한 이 로봇은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를 찾아가는 길잡이 노릇을 한다. ... ...
과학의 접경지대에서 피어난 꽃
과학동아
l
199809
그의 부모들을 설득해서, 빈대학에 입학해 화학을 전공했다. 처음에 그는 유기생화학
분야
에 흥미를 보였지만 빈에서는 자신의 관심을 충족시키기가 어려웠다. 그러던 차에 베슬리 교수로부터 비타민에 관한 연구로 1929년 노벨 생리ㆍ의학상을 수상한 홉킨스의 연구 내용을 소개받은 다음부터 그는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09
발전되면 점진적으로 그물눈 간격을 1km까지 줄여갈 계획이다. 미국 일본 독일 등의 기상
분야
선진국들도 앞으로 2-3년 내에 그물눈의 간격을 5-10km까지 줄여갈 예정이다.불확정성 원리와 카오스 이론모든 대기운동도 생명체처럼 살 수 있는 기간이 유한하다. 작은 소나기구름은 30분이면 사라진다.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09
뿐 아니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연구에도 상당한 기여를 한다.대표적인 예가 신약 개발
분야
에서의 이용이다. 감기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병이다.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서 자손을 생산해 감염 세포로부터 나오는 과정에는 여러 단백질들이 관여한다. 이들 중 특정 단백질에서 기능적으로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09
한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연구자들은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
에서 발생한 중요한 질문들에 해답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조만간 물리치료사들은 특정한 부위의 근육이나 관절의 손상으로 생긴 걸음걸이의 유형과 원인을 간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자전거 디자이너들은 ... ...
나무도 감정을 느낀다
과학동아
l
199809
땔감으로, 먹거리로, 집의 기둥으로 숲이 우리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그
분야
박사님들의 강의를 들었다. “활엽수의 잎사귀를 하나씩 따다가 앞뒷면을 문질러 보세요.” 역시 달랐다. 왜 다를까? 잎사귀 앞면에는 광합성을 위한 엽록체가 모여있고, 뒷면에는 숲쉬기 위한 기공이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