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진파가 밝힌 지구의 속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구의 속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과학뉴스포털 ‘피조그’는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과학과 제론 트럼프 교수팀이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 전체 맨틀의 3차원 지 ... 지점 등을 정확히 표시했다. 트럼프 교수는 “맨틀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구조를 확인한 점이 가장 흥미로웠다”고 밝혔다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전 세계 야동을 모아놓은 슈퍼컴퓨터’. KTX를 타고 지란지교소프트 대전본사로 향하는 길에 상상했던 장면이다. 지란지교소프트는 음란물 필터링 프로그램으로 ... 필터링하고 법을 만드는 사람도 알고 있다. 다만 앞으로 음란물을 접할 수 있는 통로가 줄어들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장수에 적합하지 않고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취약해 인류의 유전자 풀에서 E3나 E2로 점차 대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E4유전자를 하나 이상 가진 사람은 수명이 4년 이상 짧아지고, 폐경도 더 일찍 일어난다. E3를 가진 사람보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걸릴 확률이 3배 높다. 심지어 E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합리적이지만은 않다. 상당부분 무의식에 기반한다. 설문지로는 파악할 수 없는 이 지점을 뉴로마케팅은 좀 더 정확히 포착할 수 있다. 때문에 윤리문제도 있다. “신상품에 대한 불특정다수의 반응이 궁금할 때 뇌파반응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걸 원치 않는 사람도 있으니 ...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놓친 빈틈과 배우지 않아 부족한 부분을 채워 줬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기의 내용은 점점 좋아졌고 그만큼 수학실력도 쑥쑥 자랐다. 선생님은 수학 공부에도 글쓰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훈련을 거치면서 서술형 풀이는 물론, 문장형 문제를 ...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항상 이런 식이야’, ‘넌 이기적이야’ 같이 부정적인 표현을 쓰는 커플은, 감정이 점점 나쁜 방향으로 흘러가 결국 헤어졌습니다. 반대로 ‘오늘 많이 피곤한가 보네’, ‘무슨 일 있었어?’처럼 긍정적인 표현은 믿음을 두텁게 하고 관계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갔습니다. 말 한마디가 모든 걸 ... ...
- [수학뉴스] 세계는 긍정적인 말을 더 많이 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중국어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답니다. 연구팀은 모든 언어의 평균점수가 5보다 크다는 점을 들어, 사람은 언어에 상관없이 무의식적으로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새롭게 탄생하는 언어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쓰일 전망입니다 ...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따라 각각에 투자하는 에너지량이 서로 다르다.수학자들은 나무의 번식 주기가 달라지는 점에 주목했다. 나무는 번식과 성장, 꽃과 열매를 맺는 데 각각 에너지를 나눠 투자한다. 이들을 관계식으로 나타내 보면, 나무는 에너지를 1년 단위로 끊어 사용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생활] 인간을 닮은 컴퓨터, 인공지능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것이다. 한 번에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배울 수 있고, 언제든 정확히 기억해 낼 수 있다는 점만 사람과 다르다.최근 개발된 구글 딥마인드 팀의 인공지능 비디오 게이머 ‘DQN’, 사람의 얼굴을 97.25%의 정확도로 알아내는 페이스북의 인공지능 기술 ‘딥 페이스’의 핵심도 딥 러닝이다. 딥 페이스는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데에도 별 어려움이 없어 보였다.비록 눈이 보이지는 않지만 손가락으로 책을 더듬고 점자 자판을 두드리면서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열기가 교실을 가득 채웠다. 베르나르 모랑과 레프 폰트랴긴이 공통적으로 했던 말이 떠올랐다.“눈이 보이지 않아도 수학을 연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 ... ...
이전3653663673683693703713723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