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지리산에 과학 단비가 내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한눈에 알아본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 고3 학생들은 대학 심층면접을 앞두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과학동아부터 먼저 찾았다. 덕분에 권 양과 안 군은 지난해 이공계특성화 대학인 UNIST에 합격했다. 권 양은 과학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며 새로운 네트워크와 회사를 만들어 보고 ... ...
- [Hot Issue] 2015 프로야구 우승팀은 넥센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후반기 성적에 가중치를 두어 내년도 예상 득실점을 계산했다. 2015년 전반기의 득점과 실점은 2014년 전반기 성적의 40%, 후반기 60%를 반영했고, 후반기 성적은 전년도 전반기 성적을 10%, 후반기를 90% 반영했다. 후반기 성적이 올해 성적과 더 밀접한 데다, 선수층과 부상 관리가 더 중요한 시기이기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중력은 당기기만 할 뿐 밀어내지 않는다. 전자기력의 경우, 물체를 이루는 입자의 수가 점점 많아져도 미는 힘과 끄는 힘이 서로 상쇄돼 전체 순 힘은 커지지 않는다. 하지만 중력은 입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더해지기만 해 힘이 계속 커진다. 티끌모아 태산이듯 중력은 엄청나게 커질 수 있다.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술(생체재료로 인공 조직과 장기를 만드는 기술)과 DIY생물학의 대중화로 활용이 정점에 달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특히 생물학과 재료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2006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진새트-1(GeneSat-1)’ 등, 정육면체 세 개 크기(3U)의 위성으로 생명과학을 연구하기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1000개 넘을 정도니까요.조경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바로 이 점에 주목했어요. 동굴 생성물인 석순을 이용해 55만 년 전 기후에 대해 밝혀낸 거예요. 이 연구를 위해서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동굴 200여 개를 돌아다니며 55만 년 동안 자란 석순을 찾아다녔지요. 그리고 석순에 들어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싫은지, 수학 문제가 풀기 싫어서인지,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내가 싫은 건지, 노력해도 점수가 잘 오르지 않아서 좌절하는 건지 나 스스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앞에서 소개한 전문가들의 조언대로 순서에 따라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해 보자.숀펠드 교수는 문제 상황과 맞딱뜨렸을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3D 프린터가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고 우리 생활에 생각보다 훨씬 가깝게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는 소감을 남겼다.무한상상실은 언제나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기다리고 있다. 나만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면, 지금 당장 무한상상실을 방문해 보는 건 어떨까 ...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돕는 데도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사실 이런 결과는 어디까지나 진화심리학 관점에서 살펴봤을 때다. 실제로는 개개인의 성격이나 가정환경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얼마든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갈 길 먼 가족관계 연구에 도전하자!결혼부터 친척 사이의 관계까지 가족의 비밀을 풀어 주는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나올 확률이 같은 균일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는 벤포드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시험 점수와 같이 평균을 중심으로 종 모양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정규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균일분포와 정규분포가 섞여 있는 데이터에서는 벤포드 법칙이 성립한다. 또 10진수가 아닌 다른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떨어지는 과정은 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일어나나, 회복은 짧은 시간에 이뤄진다는 점이다. 빙하는 8만 년 동안 만들어진 뒤 4000년 만에 사라지곤 했다. 그렇지만 혹시 더 급진적인 변화도 가능할지 모른다. 1000년 동안 급속한 빙하기를 겪었던 영거드라이아스기의 사례는 이런 걱정이 기우가 아닐 ... ...
이전3683693703713723733743753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