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더 자세히 알려 주겠니?우리는 다른 동물에게 없는 특징이 있어요. 그중 가장 특별한
점
은 거미줄을 만든다는 거예요. 배의 꽁지 부분 안쪽에 있는 실샘에서 거미줄을 뽑아내죠. 거미줄은 투명한 단백질인데, 명주실보다 5배나 강도가 세요. 그래서 우리가 거미줄로 집을 짓고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자기장을 발생시켰어요. 문제는 구리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많은 열이 발생한다는
점
이었어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케이스타는 구리가 아닌 *초전도체 코일로 자기장을 발생시킨답니다.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0이라 열이 발생하지 않거든요.”*초전도체 :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전류가 저항 없이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노선도에서
점
하나와 역 하나가 일대일 대응하는 것처럼, 곡선 모듈라이 공간의 한
점
과 곡선 하나가 대응을 이룬다.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A역에서 B역까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모듈라이 공간을 보면 얼마나 많은 곡선이 있는지, A곡선을 변형해 B곡선으로 어떻게 만들지 등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순간 멈춰버린 자동차처럼 입소문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굳어 버렸다. ‘인기 밀도’는
점점
높아지는 반면, ‘제발 한 번만 먹어보자’는 사람은 계속 쌓이기만 하면서 ‘소문 정체’가 일어난 것이다.한 번 높아진 밀도는 쉽게 낮아지지 않는다. 명절이나 연휴기간 한 번 시작된 교통정체가 쉽게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마치 섬처럼 갇힌 생태계를 이뤄. 이때 가장 큰 문제는 유전자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점
이야. 넓은 지역에서는 한 종이 여러 곳에 퍼져 살며 서로 교류할 수 있지만, 좁은 지역에는 아주 적은 수의 무리만 갇혀 살게 돼. 자기들끼리 계속 짝짓기를 하며 새끼를 낳다 보면 유전자에 문제가 생길 뿐만 ... ...
[생활] 낮에는 선생님, 밤에는 작가 수학 교사 미술가 김주희 작가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재료였다. 기자가 의아한 반응을 보이자 김 작가는 말을 이었다.“수학과 미술은 닮은
점
이 있어요. 상징적이고 함축적이죠. Σ(시그마)와 ∫(인테그랄)은 각각 합계와 적분을 상징해요.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아들어요. 그림도 마찬가지예요. 작가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캔버스에 담긴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내접했다고 가정하고 구 표면에 정다면체의 핵심 요소를 표시했다. 예를 들어 꼭짓
점
에는 별을 표시하고 그 별을 직선으로 이어 구획을 나눴다. 이렇게 구형의 털뭉치 위에 여러 가지 정다면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나타내고, 대칭의 종류를 분류했다. 뜨개질은 수학과 섬유예술의 만남이다. 추운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해설자들의 전통적인 야구관이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세이버매트릭스의 출발
점
도 바로 그곳이다. 올 한해 통계와 야구의 허와 실을 찾아 떠나보자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거의 꼴찌를 받았을 것”이라고 단언했다.국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한 가지 중요한 시사
점
을 짚어냈다. 과학자 집단의 노력에 따라 과학적 성과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과학자는 흔히 뛰어난 연구결과를 성취하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과학은 궁극적으로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재밌는 것은 이 모든 우주 사업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논증에 일반상대성이론이 있다는
점
이다. 모든 제안서에 상대성이론이 큰 글씨로 쓰여 있다.Q. 21세기 과학의 중심이라고 하는 이유는21세기 현대 물리학과 천문학의 주요 논제들은 모두 일반상대성이론의 산물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