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울프람과의 만남은 어떤의미로 남을까?“한 문제를 풀더라도 모두 다르게 푼다는
점
이 신기했다”는 김솔 학생의 말처럼, 수학동아리는 단순히 수학 문제만 풀 것이라 생각해 온 기자에게 펜로즈는 단어 그대로 신선한 동아리였다. 안심하기엔 이르다. 펜로즈 앞에는 아직 어려움이 기다리고 있다.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마치 섬처럼 갇힌 생태계를 이뤄. 이때 가장 큰 문제는 유전자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점
이야. 넓은 지역에서는 한 종이 여러 곳에 퍼져 살며 서로 교류할 수 있지만, 좁은 지역에는 아주 적은 수의 무리만 갇혀 살게 돼. 자기들끼리 계속 짝짓기를 하며 새끼를 낳다 보면 유전자에 문제가 생길 뿐만 ... ...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거의 꼴찌를 받았을 것”이라고 단언했다.국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한 가지 중요한 시사
점
을 짚어냈다. 과학자 집단의 노력에 따라 과학적 성과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과학자는 흔히 뛰어난 연구결과를 성취하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과학은 궁극적으로 ... ...
Epilogue. 태양광 유인항공기 3월 세계일주 도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강한 계절풍을 피하기 위해 3월을 택했다.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 성능이 떨어진다는
점
이다. 솔라 임펄스 2에 탑재된 리튬이온전지는 단위 무게당 260Wh를 축전할 수 있는데, 야간에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기 위해 실은 전지 무게만 비행기 무게의 4분의 1인 633kg에 달한다. 그렇다면 차세대 태양광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모든 방송 영상이 이 정도로 많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는
점
이죠. 비결은? 바로 수학이에요. 복잡한 방정식으로 전후 영상을 분석하면 움직이는 요소와 움직이지 않는 배경을 파악할 수 있어요. 이를 바탕으로 매끈한 중간 영상을 만들어 붙입니다.”수학은 이렇게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한다. 항력은 항공기가 비행할 때 동체 주변에 난기류가 많이 생길수록 커진다. 이
점
에 착안한 아에리온 연구팀은 항공기를 둘러싼 얇은 공기층이 동체 주변을 부드럽고 깔끔하게 흘러나가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은 동체와 엔진 모양을 개선하고 주날개 배치를 바꿔 비행 중 동체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산란하면 수컷이 정자를 뿌리는 체외수정을 한다고 배우지 않았나요? 바로 그게 이상한
점
입니다. 고대 물고기는 교미를 통한 체내수정을 했는데 후손들은 다시 체외수정으로 돌아갔다는 의미거든요. 체외수정은 칠성장어처럼 턱뼈 없는 물고기(무악류)들이 아주 오랜 옛날부터 쓰던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해설자들의 전통적인 야구관이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세이버매트릭스의 출발
점
도 바로 그곳이다. 올 한해 통계와 야구의 허와 실을 찾아 떠나보자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자기장을 발생시켰어요. 문제는 구리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많은 열이 발생한다는
점
이었어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케이스타는 구리가 아닌 *초전도체 코일로 자기장을 발생시킨답니다. 초전도체는 전기 저항이 0이라 열이 발생하지 않거든요.”*초전도체 :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전류가 저항 없이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뒤 볼록렌즈와 같은 장치를 거쳐 한
점
에 모으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 빛이 모이는
점
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이 기술로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빛 신호를 현재 회로에 적용하면 전기신호에 비해 100배나 빠른 속도로 정보를 처리하는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