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는 넉넉한 미소부터 지어보였다."인조과일이 성공해 이젠 집도 한칸 생겼고 1백50여
종
의 과일을 찍어내는 틀과 조그만 회사(우신모조화사)도 있습니다. 당장 먹고사는 데 걱정을 잊었으니 경제적 욕심은 없고 발명풍토 조성에 힘쓰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발명덕분에 단상에 연사로 서서 강의를 할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계산의 정확성이나 속도면에서 뒤떨어진다. 그러나 계산이나 속도는 인간이라는
종
의 개념에서 볼 때, '인간적'이라는 특성에 그다지 중요한 부분이 아닐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로서 인간 사고의 특징은 추론이나 판단이지 빠르고 정확한 계산이 아니었다. 기껏 '털없는 원숭이'에 불과한 인간이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삼림벌채 약초남획 자연석채굴 등으로 중국 동북지방은 아주 지쳐있는 자연으로 변해 있었다.모스크바 콤소몰스카야역에서 유라시아 대륙횡단열차에 몸을 실은 것은 한 ... 식생이 파괴된다는 것은 곧 식물
종
들의 단순화를 초래하게 됨을 의미하며, 마침내 희귀
종
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 ...
질소산화물 대폭 줄여주는 메탄올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최근 기아자동차(주)는 콩코드 M100(메탄올 100%)과 베스타 M85(메탄올 85% +가솔린 15%) 등 2
종
의 메탄올자동차를 개발했다. 지난83년부터 연구를 시작해 근 10년만에 결실을 본 것이다. 이 메탄올 콩코드와 베스타는 각각 1.8ℓ와 2.0ℓ짜리 기화기형 메탄올엔진을 달고 있다. 또 메탄올에 의한 부식을 ... ...
1백년전 멸
종
됐던 쿠아가 부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저지른 잘못을 고치기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성공이 동물의 멸
종
을 간과하는 사태로 이어지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n+1)번 지난 후의 펄스 에너지를 다음 점화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Xn+1=r Xn(1-Xn)생태계
종
의 밀도도 이 모델로 설명할 수 있어 생태론자와 생물학자들이 많이 연구하고 있다. 광의 경우 r은 증폭하기 위한 이득과 관련되며, r의 크기에 따라 Xn의 변하는 양상이 달라진다. r이 3보다 작을 때는 Xn은 ... ...
공해와 결별 선언한 신세대 자동차6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런 오염물질들과 더불어 살 수 없다는 선언들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 소개하는 6
종
의「청정」자동차는 모두 아직 완벽한 상태가 아니다. 개중에 몇몇은 2000년이 되기 전에, 또 한둘은 그 이후에나 실용화될 전망이지만 이미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그 시제품이 나와 있다. 자동차의 ... ...
인공편모모터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주름잡힌 단백질이며 로터(rotor, 회전자)의 근간임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 발견은 10
종
류의 단백질로 구성된 편모모터 구조의 혼미를 해명해줬다. 현재 모터구조의 단백질을 뽑아내 유전자를 분리증식하고, 구조를 직접 해명하는 작업에 들어갔다.또 한사람의 연구 리더인 남바는 편모섬유의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녹지화'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고흡수성고분자가격이 너무 비싸고 토양의
종
류와 기후에 따라 흡수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실험실 규모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최근에는 '물먹는 신소재'가 물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내외조건을 활용, 이를 인공근육 인공손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미국의 레베카 캔은 각 인
종
1백47명의 태반을 모아 여기서 추출된 미토콘드리아의 DNA변
종
으로부터 계통수를 작성했다. 그 결과 모든 인류는 20만년 전에 아프리카의 한 여성(이브)으로부터 나왔다는 것. 이 성과를 받아들이는 한 지역진화설이 성립할 여지는 거의 없다. 이후 분자생물학자들로부터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